한·인도 CEPA 체결은 12억 인구를 자랑하는 거대 신흥시장을 조기에 선점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데요.
특히 수출 확대를 통한 경제회복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계속해서, 한·인도 CEPA 체결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2억명에 육박하는 11억5천만명의 인구.
GDP 규모 1조2천억달러에 연간 6% 이상의 고속 성장.
거대 신흥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인도의 현 주소입니다.
특히 인도의 수입시장 성장률은 2003년 이후 해마다 20% 이상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중 우리나라의 비중은 현재 2%대 정도지만, 이번 한·인도 CEPA 체결로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 현재 일본과 유럽연합 등이 인도와 FTA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인도 CEPA 체결은 현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선제적 효과를 보기에 충분하다는 분석입니다.
우리의 경우 협정이 발효되면, 앞으로 10년 동안 수출은 연평균 1억7천만달러, 수입은 3천7백만달러가 늘어나, 수출이 수입보다 약 4배 이상 증대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제조업 수출이 연 평균 4% 가까이 증가하는 등, 대 인도 무역수지가 연간 1억4천만달러 가량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더불어 뉴델리 지역에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가 문을 열게 되는 등, 수출·투자기업 지원과 우수인력 유치를 포함한 대인도 협력 프로그램도 한층 강화될 전망입니다.
KTV 김미정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49회) 클립영상
- 한·인도 CEPA 서명, 내년 발효 추진 2:09
- 12억 거대 신흥시장 조기선점 2:08
- 자동차 부품 등 산업별 수혜 '풍성' 1:45
- 내일부터 포털도 언론중재법 적용 0:23
- "클린턴, 북에 유씨 문제 전달" 1:40
- 인도네시아 소수민족 공식문자로 한글 채택 2:17
- 청해부대, 7차례 구출·284척 호송 1:51
- UN 방재연수원 11일 개소 2:06
- TaLK, 영어 봉사도 하고 한국도 배운다 2:54
-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 편의성 강화 1:42
- 기획재정부 "회복추세 강화···하반기 지속은 불확실" 0:31
- 국민신문고 외국어서비스 '안착' 1:57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2
- 취업준비생들의 여름나기 [현장포커스] 12:44
- 조선의 학자와 중국의 사신이 주고받은 시 (奉使朝鮮倡和詩卷 - 봉사조선창화시권) [한국의 유물] 1:33
- 온실가스 감축 실현 계획은 [정책진단] 27:10
- 대학로가 달라졌어요 [KTV 열린세상] 2:02
- 세계로 간다! 우리 술 막걸리 [이것이 최고] 9:24
- 이만희 감독의 '마의 계단' [KTV 시네마] 5:25
- R&D투자에 대한 세제지원 강화 4:04
- 오늘의 정책(전체) 21:27
- '포스트 교토' 선제대응 시동 [클릭! 경제브리핑] 4:09
- 포털뉴스 내일부터 언론중재법 적용 1:48
- IPTV 공부방, 취약계층 배움터 역할 '톡톡'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