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TaLK, 영어 봉사도 하고 한국도 배운다
등록일 : 2009.08.07
미니플레이

토크 프로그램이라고 들어보셨는지요?

교포 2세나 외국인 대학생들이 우리나라에서 연수를 거친 뒤 영어교육 격차가 큰 지역에서 영어강사로 봉사활동을 하는 제도인데요, 예비 강사가 되기 위한 연수생들의 열기가 뜨겁다고 합니다.

외국어로서의 영어를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수업이 한창입니다.

자유로운 대화가 오가는 가운데 간간이 웃음소리도 커집니다.

또 다른 수업시간.

한국사회에서 강사생활을 할 때 생길 수 있는 문화차이를 미리 배우는 수업입니다.

특별강사로 나선 스텔라 조는 이미 올해 초 2기 토크프로그램에서 연수를 받았고 현재 경북지역 초등학교에서 강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스텔라 조 /현재 영어강사 활동중

“6개월 전에 와서 2기 프로그램에 참여했는데, 3기 학생들에게 강의할 수 있어서 기쁘고 그들이 알고 싶어하는 것을 잘 알려주고 싶습니다.”

토크 프로그램, 즉 정부초청 해외영어봉사 장학생 프로그램은 교포 2세들이나 원어민 학생들을 초청해 영어 강사로 채용하는 사업입니다.

한달 여의 연수를 마친 학생들은 농산어촌 등 영어회화 교육이 어려운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길게는 1년 동안 영어를 가르치게 됩니다.

‘영어를 가르치고 한국을 배운다’는 취지에 맞게 재외교포뿐만 아니라 외국인 대학생의 지원도 늘고 있습니다.

타일러 루티 / 3기 토크 프로그램 연수생

“학생들에게 편안한 선생님이 되고 싶어요. 단지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대화하는 건지에 가치를 두고 친절하게 가르쳐 주고 싶습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을 거쳤던 1, 2기 학생들이 주변 사람들에게 프로그램 참여를 권유하면서 경쟁률도 크게 높아졌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토크프로그램 참여했던 1기의 성과들을 분석한 결과 84% 이상의 학생들이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된 토크 사업은 현재 380여 개 학교에서 5만 여명의  농산어촌 지역 초등학생들이 주당 4시간의 수업을 듣고 있습니다.

정부는 토크 프로그램이 농산어촌의 영어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우수한 해외 인재를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 사업을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토크 프로그램에 참여한 444명의 학생들은 기존에 활동하던 102명과 함께 전국 초등학교에 배치돼 오는 9월부터 영어강사로 활동할 예정입니다.

KTV 문은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