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는 국내산 쇠고기 뿐만 아니라, 수입 쇠고기에 대해서도 이력제가 확대 시행됩니다.
특히 무선인식 태그인 RFID 시스템의 도입으로, 계산대에서도 바코드 스캔 한 번이면 쇠고기의 모든 정보가 파악되는 등 소비자 보호 기능이 강화됩니다.
수입쇠고기가 가득 담긴 상자를 안고, RFID 시스템을 통과합니다.
쇠고기가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한 눈에 들어옵니다.
수입과 검역 단계부터 유통과 가공, 그리고 최종적으로 판매에 이르기까지, 수입 쇠고기가 소비자에게 전해지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공개되는 겁니다.
만약 수입 쇠고기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엔, 해당 쇠고기의 정보가 모든 유통단계와 각 판매장으로 전송돼 즉각 회수 절차에 들어갑니다.
특히 소비자에게 판매되기 직전 계산대에서도 바코드 스캔 한 번이면 모든 정보가 파악돼,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손경자/농림수산식품부 동물방역과 사무관
"수입산 쇠고기에 RFID가 도입되면, 소비자가 모든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돼 신뢰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장 판매자들도 이력제 전면 확대를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윤상환 상록플라자 정육코너 팀장
"손님이 먹는 고기가 어디서 자라서 어떤 과정을 거쳐 유통됐는지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어 파는 입장에서도 좋다."
정부는 수입쇠고기 유통 이력관리 시스템을 갖춘 판매장에 대해선, '위해 수입 쇠고기 판매차단 업소'로 인증하는 마크를 부착해, 소비자가 안전한 매장을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수입 쇠고기 이력제는 내년 1월 대형유통매장을 중심으로 시범 운영에 들어가며, 12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실생활에 도입될 예정입니다.
KTV 김민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오늘 (2008~2010년 제작) (183회) 클립영상
- '첨단의료단지' 2012년까지 완공 2:05
- 오송- 대구신서 글로벌 '의료메카' 만든다 2:21
- 산업단지 내 기업규제 대폭 개선 1:24
- 한 총리 "온실가스 감축에 국익 고려" 1:39
- 불량 수입 쇠고기, 계산대서 걸러낸다 1:54
- 서비스업 경쟁력 강화, 만성적자 개선 1:40
- 유엔협회 세계연맹 총회 개막 2:08
- "박근혜 의원, 대통령 특사 파견" 0:27
- 저자서명본 전시회 열려 2:37
- 이시각 지구촌 3:40
- '신기술대전' 건설시장 선점 발판 1:53
- 재직자 인터넷 직업훈련 강화 1:41
- 한인 차세대 리더 '한자리에' 1:51
- 풍수해보험 신규 가입, 8월말까지 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