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 전통주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대대적인 지원책을 내놨습니다.
그간 전통주 시장을 옭아맸던 각종 규제를 풀고, 세제혜택은 대폭 늘렸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술 시장 규모는 8조 6천억 원.
소주와 맥주, 위스키가 전체 시장의 87% 차지했고, 탁주와 약주 등 전통주는 3.6% 그쳤습니다.
특히 프랑스 와인이나 독일맥주, 일본사께는 100% 자국 농산물을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소주와 맥주, 탁주는 주원료의 80%이상이 수입농산물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
이처럼 그간 ‘찬밥’신세를 면치 못했던 우리의 전통술이, 나라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명주’로 거듭날 전망입니다.
정부가 밝힌 우리 술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크게 네 가지.
먼저 우리 술의 품질 개선을 위해 우리술 연구센터를 설치하고, 주종별로 대표 브랜드를 만들어 홍보와 마케팅을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세제혜택도 확대됩니다.
식품명인 인증자가 제조한 명인주에만 주어졌던 세제감면 혜택이 앞으로는 개별 농민이 빚은 지역 특산주까지 확대돼 전통주로 인정받게 됩니다.
각종 규제도 풀었습니다.
전통주 제조면허를 따기 위해 갖춰야 했던 누룩제조용 시설 요건을 없애고, 주문자상표부착 생산방식을 통한 제조를 허용해 중소 제조업자의 진입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전통주의 판로 개척을 지원해 주기 위해 인터넷 판매를 허용하고 전통주 판매 전용 포털사이트도 운영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이번 육성책으로 현재 2억 3천억 달러 수준인 우리 술의 수출 시장을 오는 2017년까지 10억 달러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KTV 김미정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253회) 클립영상
- 자율통합 지자체에 '인센티브' 1:49
- 지자체 통합 움직임 '가속' 2:37
- 보금자리주택 공급 대폭 확대 0:42
- "서민에 주택 마련해 주는 정책" 1:58
- '근로자 생애최초 주택청약제도' 신설 0:30
- 학교 신종플루 확산 총력 대응 1:45
- 우리 술, 규제 줄이고 지원 확대 2:30
- 내년 하반기부터 이중 제재 '폐지' 2:10
- 남북, 이산가족상봉 이견 조율 0:31
- 소비심리지수 5개월째 상승…7년만에 최고치 1:25
- 한·인도 CEPA 비준동의안 국회 제출 1:42
- 수출 中企, 한·인도 CEPA 적극 활용 3:17
- 세계 한민족 여성네트워크 개막 1:45
- 구 서울역사 문화공간화 '첫 삽' 1:49
- 부품산업 육성, 對日 의존도 축소 1:47
- 오늘의 경제동향 2:33
- 종자 개발로 수출길 '활짝' [현장 포커스] 6:28
- 4대강 살리기 '이렇게 지원' [정책&이슈] 25:27
- '연가칠년'이 새겨진 부처 [한국의 유물] 3:38
- 열린 지혜의 땅 '영광' [대동문화도] 8:06
- 나는 어떤 타입 인간일까? [문화읽기] 9:32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59
- 우리정부 옳은 길로 가고 있다 2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