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가 하면 도시와 농촌의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해 지방교육 활성화 방안도 마련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함께 보시겠습니다.
2007년 연구 자료에 따르면 농촌 주민 가운데 60.1%가 교육시설의 불편함을 느꼈고, 도시도 이사를 가는 원인으로는 37%가 자녀교육을 꼽았습니다.
이와 같은 농촌 지역의 교육 만족도를 높이고 도농간의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지방교육 활성화 대책’을 내놨습니다.
정부는 우선 지역 교육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우선 현재 지정돼 있는 기숙형 고교 82곳 외에도 올해 지방을 대상으로 68개교를 추가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첨단 기숙사 시설을 지원함으로써 기숙사와 연계된 집중 교육을 통해 도농복합도시 등 소외지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섭니다.
지방의 대학과 전문대학에는 수도권에 세 배에 가까운 지원을 통해 교육과정 개선 및 교육 실습 지원 등에 전략적으로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3개교 내외의 지방 전문대학을 선정해 내년부터 글로벌 전문대학으로 육성할 계획입니다.
글로벌 전문대학은, 전문대학과 기업이 연계해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필요로 하는 현지 인력을 맞춤형으로 육성하는 것으로, 기업에 필요한 우수 인력을 집중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또 기술분야 전문가를 키우는 마이스터 고등학교를 현재 지정된 21개교에서 2011년까지 50개교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지자체 주도형’으로 13개 시도별로 2-3개를 지정해 각 지역에 전체 35개에서 40개교를 선정하고 산업체와 지자체, 그리고 정부가 연계돼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집니다.
정부는 이밖에도 농산어촌의 영어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해외 영어봉사장학생 사업인 토크 프로그램을 비롯해 원어민 원격 화상강의와 EBS 영어교육방송 등을 무료로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지역의 우수 인재가 수도권 등에 유출되는 문제를 줄이고, 지역 주민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TV 문은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