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전국 권역별 특화,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록일 : 2009.09.17
미니플레이

이번에 열린 지역발전위원회 보고회의에서는 전 국토를 특색있게 발전시키기 위한 지역발전 5개년 계획이 보고됐습니다.

전국 7개 권역을 맞춤형으로 발전시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5년간 126조 4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지역발전 5개년 계획은,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발전전략입니다.

전국을 7개의 큰 권역으로 나누고 지역의 여건을 자산으로 삼아, 글로벌 경쟁력을 극대화시킨다는 겁니다.

고속도로 사정이 좋은 충청권은 과학기술과 첨단 산업의 중심으로 키워 한국의 실리콘 벨리로 육성됩니다.

넓은 평야 지역이 매력적인 호남권은 21세기 문화예술과 신재생 에너지, 친환경 부품소재 같은 친환경 녹색산업의 선도지역으로 키워지고, 부산과 울산, 경남의 동남권은 환태평양 시대의 물류 중심지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입니다.

영남대와 경북대, 계명대 등 의료관련 인프라가 풍부한 대경권은 첨단의료복합단지가 들어서는 지식산업 성장지대로, 또 강원권은 녹색생태자원을 토대로 관광, 휴양으로 대표되는 웰빙산업을 집중 육성합니다.

과거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이 지역 균형발전을 우선 과제로 삼았다면, 이번 지역발전 5개년 계획은 각 지역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삼았습니다.

지식경제부는 이 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됐을 때, 앞으로 5년 동안 327조원이 넘는 생산유발효과와 190만명에 가까운 고용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KTV 최고다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