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가 하면 미래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기 위해 연구개발 지원이 대폭 늘어납니다.
또 중소상공인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저리의 금융 지원을 통해 노후한 영세점포의 현대화를 유도해나갈 계획입니다.
계속해서 전해드립니다.
정부가 밝힌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의 요지는, 연구개발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사회간접자본시설 확충입니다.
이에 따라 올해 5천억원인 기초연구 투자 규모를 내년에는 6천5백억원으로 늘리고, 그린카와 로봇, IT융합 등 원천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6천6백억원의 재원이 조성됩니다.
취약한 연구개발의 저변 확대로 기술이 사업화되면 민간투자가 늘어나고, 이를 통해 연구자 역량 강화와 연구개발 체계 효율화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입니다.
아울러 수자원 공사가 내년에 4대강 살리기 재원의 3조2천억원을 투자하기로 한 만큼, 총 투입비 6조7천억원 가운데 정부가 3조5천억원을 부담해게 돼, 재정 운용의 폭이 유연해질 전망입니다.
이 과정에서 34만 개의 일자리 창출과 40조원 가량의 생산유발효과를 정부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형 슈퍼마켓에 대응해 골목상권의 정보화와 공동브랜드 등을 구축하기 위한 예산도 마련됐습니다.
정부는 영세점포에 대한 입지분석과 점포개선 등 종합경영 컨설팅 지원에 점포당 평균 5백만원을 지원하고, 노후점포의 현대화를 위해 5천만원씩 모두 1천억원을 저리로 융자해 주기로 했습니다.
이 밖에 1인 창조기업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지식서비스 교육훈련'에 대한 지원도, 올해 37억원에서 내년에는 99억원으로 크게 확대됩니다.
KTV 박진석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276회) 클립영상
- 내년 나라살림 291조8천억원 편성 1:59
- 서민복지 확대, 일자리 55만개 창출 2:55
- R&D 지원 확대, 성장잠재력 확충 2:24
- 세출구조 개선, 재정 건전성 강화 1:54
- 서민·취약계층 신규 지원사업 '풍성' 2:27
- 5년간 재정운용, 달라지는 국민생활 2:31
- 경상수지 20억4천만달러…7개월째 흑자 0:28
- 이 대통령, 당 지도부에 G20 설명 0:36
- 이 대통령 "G20정상회의 개최, 도약 기회" 1:36
- 이 대통령 "쌀값 안정 근본대책 마련" 0:29
- 한국형 안전도시 9곳 선정 0:27
- 박물관 100주년 기념전 열려 1:47
- "북핵-금강산관광 재개, 연관없다" 0:34
- 기약 없는 이별…작별상봉 '눈물바다' 1:26
- 오늘의 경제동향 2:43
- 문화로 대한민국과 소통한다 [현장포커스] 10:19
- G20 정상회의, 한국개최 의미는 [정책&이슈] 25:44
- 분청사기 모란무늬 자라병 2:54
- 법과 정의의 배움터 '솔로몬 로파크' [문화현장] 19:00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