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요금이 비싼 시간엔 저절로 전력이 차단되고, 저렴한 시간대를 골라 가전제품이 돌아가는 것.
바로 지능형 전력망인 '스마트 그리드'로 가능해지는 생활상인데요.
정부가 그 토대가 되는 '스마트 미터'의 보급에 본격적으로 착수합니다.
세탁기가 돌아가고 에어컨이 작동하자, 벽면에 설치된 스마트 미터에 전기 사용량과 가격이 뜹니다.
요금이 가장 비싼 시간엔 LED 조명과 에어컨이 저절로 꺼집니다.
전기 요금이 저렴할 때만 전등이 켜지고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사용자가 미리 조절해 놨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시간대별 전기요금으로 전환되는 스마트 그리드 사업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로 스마트 미터기입니다.
전기를 사용한 양과 전기가 가장 비싼 시간과 싼 시간, 소비자가 사용한 전기의 가격까지 가정에서 정확히 계산하려면, 바로 이 스마트 미터기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이렇게 스마트 그리드 사업의 토대가 되는 스마트 미터기 교체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현재 국내에 스마트 미터가 보급된 가구는 전체 가구의 4% 수준, 지식경제부는 내년부터 2020년까지 전력량계 교체 사업에 모두 1조 천 367억원을 투입해,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가구로 스마트 미터 보급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정부는 스마트 미터의 보급이 완료되면, 전기 공급자의 검침비용 절감과 소비자의 에너지 절약 비용 등 해마다 3천 400억원 이상의 사회적 비용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KTV 최고다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90회) 클립영상
- '스마트 미터' 2020년까지 보급 완료 1:39
- 전국 댐 활용, 단기 가뭄대책 추진 2:09
- '확장적 재정정책 유지' 공동 선언 1:37
- 이 대통령 "아동성범죄자, 사회서 격리해야" 1:42
- '연합 입시설명회' EBS 통해 방송 2:38
- 119구조대, 지진참사 현장서 맹활약 1:54
- 민간주관 시상, 지자체 참여 제한 1:29
- 영암 해남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만든다 2:15
- 해외 언론인, 녹색성장·생태관광에 큰 관심 2:04
- "그랜드 바겐, 5자협의 통해 구체화" 0:36
- 신종플루 백신 10월 중 접종 가능 1:17
- 정부 관급공사 中企 자재 활용 확대 1:24
- 10월 문화의 달 전국 문화행사 '다채' 1:36
- 국세청 조직 효율화 작업 본격화 1:29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51
- '문화가 살아 숨쉬는 마을' [현장포커스] 10:47
- 말머리 모양 뿔잔 [한국의 유물] 1:33
- 푸른농촌 희망의 농촌 만들기 [정책진단] 30:44
- 공부도 열심히! 녹색 실천도 열심히! [생활과 정책] 6:20
- 전통시장 소액대출제도 4:17
- 남한강변을 따라 걷다 - 원주 [대동문화도] 8:17
- 오늘의 정책(전체) 18:44
- 불량제품 '리콜' 소비자권익 확대 [클릭! 경제브리핑] 3: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