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국무회의에서는 쌀값 폭락을 막기 위해 정부가 11만톤의 쌀을 추가로 매입하는 '수확기 미곡 매입대책안'이 처리됐습니다.
올해 쌀 예상생산량은 468만2천톤.
반면 예상소비량은 437만톤으로, 31만2천톤이 공급과잉입니다.
이처럼 풍년으로 늘어난 쌀 공급량을 소비량이 따라잡지 못하면서 쌀값 불안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쌀값 안정을 위해 지난 8월 쌀수급안정화대책을 마련한 정부는 그 일환으로 올해 생산된 쌀 중 11만톤을 추가 매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1만톤의 쌀은 농협중앙회의 자금 천970억원을 투입해 사들인 뒤, 1년 6개월 가량 보관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이에 앞서 공공비축용으로 쌀 18만톤을 매입하기로 한 바 있는데, 이에따라 올해 예상되는 31만2천톤의 쌀 초과공급량 중 공공비축미곡 18만톤과 이번에 추가매입하기로 한 11만톤으로 29만톤은 1차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됐습니다.
정부는 남은 2만2천톤의 경우 쌀국수나 쌀과자 등 쌀가공산업활성화를 통해 소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추가매입하기로 한 쌀 11만톤은 시장가격과 동일하게 매입하도록 해 농가에 불이익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정부는 또 향후 쌀 생산량이 예상치보다 늘어날 경우 해당 초과량에 대해서도 추가매입하기로 했습니다.
KTV 김관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오늘 (2008~2010년 제작) (228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위기관리체제 지속" 1:42
- 정부, 쌀 11만톤 '추가 매입' 1:33
- 토지임대주택 내년부터 본격 공급 1:48
- 자가용 승용차, 전국 어디서나 등록 0:27
- 중소 농식품 기업 경쟁력 키운다 2:16
- 남북, 오늘 임진강 수해방지 실무회담 1:35
- 이시각 지구촌 3:59
- 전국 해안선 잇는 자전거길 개발 1:20
- 내년부터 의료관광 전시산업 투자 늘린다 0:47
- 6대 대기업 미소금융 1조원 기부 0:33
- 신종플루 확산추세 '주춤' 1:25
- 한시생계보호 급여신청 "서두르세요" 1:45
- 전통마을에서 1박2일 [현장포커스] 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