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의 세계화를 위해선 현재 음식점마다 제각각인 외국어 표기를 단일하게 만들 필요가 있는데요.
정부가 124개 품목의 한식에 대해 기준이 되는 외국어 표기안을 마련했습니다.
불고기에서부터 비빔밥, 최근에는 떡볶이에 이르기까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한식의 가짓수는 갈수록 늘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 중인 한식의 외국어 표기는 음식점마다 제각각이어서, 외국인들에게 오해를 유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한식인 김밥과 김치의 경우만 해도 여러가지 표기가 혼재하고 있어, 올바른 표기법 한가지로 통일하는 일이 시급합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내외 한식당에서 제공되고 있는 외국인 선호메뉴에 대해, 기준이 되는 영어와 일어, 중국어 표기안을 마련했습니다.
모두 124개 품목으로 사진과 음식명칭, 주재료에다, 곁들여 먹는 국이나 양념장의 내용까지 두루 담았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한식 대표 표기안을 책자로 발간해, 국내 한식당뿐 아니라 재외공간을 통해 해외 한식당에 보급하고, 식품정보 포털에도 e-book 형태로 제공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메뉴 표기안을 불어와 스페인어로까지 확대해, 한층 다양해진 한식메뉴와 식재료에 대한 외국어 표준표기안을 개발해나간다는 방침입니다.
KTV 박진석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113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온실가스 감축목표 '강화' 1:42
- 온실가스 27% 또는 30% 감축…17일 확정 1:38
- 범국가 '에너지 목표 관리제' 도입 1:42
- 녹색 건축물, 저탄소 녹색도시 구현 2:17
- 철도·그린카 등 녹색교통으로 재편 2:05
- 1조원 투입, 녹색 인재 10만명 양성 1:26
- 이 대통령 "구조조정 소홀함 없이 추진돼야" 0:37
- 이 대통령, 14~15일 APEC 참석 1:27
- 정 총리 "세종시 자족기능 20%까지 올려야" 0:29
- 세종시 실무단 가동…여론수렴 본격화 0:28
- 수도 이전·분할, 외국사례는? 2:39
- 새만금, 세계적 '녹색성장 도시'로 2:12
- 총력대응으로 신종플루 고비 넘긴다 1:52
- 청와대 직원 헌혈행사 동참 0:23
- 자영업자도 폐업 때 실업급여 받는다 0:24
- 근로장려금 82% '만족', 생활·교육비 사용 0:31
- '2009 공공디자인엑스포' 0:29
- 2009 신기술 실용화 촉진대회 2:29
- 124개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안 마련 1:26
- 페어링 비정상 분리…내년 상반기 발사 2:25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8
- 문화향기 전하는 ‘찾아가는 문화버스’ [현장포커스] 10:54
- 짐승얼굴무늬 기와 [한국의 유물] 1:59
- 4대강 수질오염 '제도적으로 막는다' [정책진단] 30:58
- 세종뜨락축제로 감성충만 [KTV 열린세상] 2:44
- 세계 최고, 최장 건축에 도전하다 [이것이 최고] 8:47
- 이형표 감독의 '맹물로 가는 자동차' [KTV 시네마] 5:08
- 오늘의 정책(전체) 10: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