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FTA 조기개시 등 중남미 경협 박차
등록일 : 2009.11.10
미니플레이

풍부한 에너지·자원과 함께 최근 구조개혁으로 거대 경제권이 된 중남미를 상대로, 본격적인 경제협력 확대 방안이 추진됩니다.

콜롬비아와의 FTA 협상을 조기에 개시하는 등 교역 다변화에 탄력이 붙을 전망입니다.

아프리카와 유사한 자원의 보고이면서도, GDP 비중은 7%대로, 아프리카의 4배 이상에 달하는 높은 구매력을 보유한 중남미.

지난해 중남미에서의 무역흑자가 195억달러를 기록하는 등, 우리에게 유럽연합에 이어 두번째 교역 흑자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이 권역을 상대로 한 우리나라의 교역과 교역수지는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지만, 멕시코와 파나마, 브라질, 칠레 등 특정 국가에 선박과 평판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주요10대 수출품목이 75%가까이 집중되면서, 대기업 위주의 특정 품목에 편중돼 있다는 지적이 있어 왔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무역과 투자, 자원.에너지와 녹색성장, 산업건설과 경제협력 기반 등 4대 분야에 걸친 종합대책을 마련해, 중남미와의 경제협력을 통한 시너지를 극대화하기로 했습니다.

윤태용/ 기획재정부 대외경제협력관

"특정 분야라기보다 민간과 정부가 아우르는 원활한 경제협력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 녹색성장을 추진하는 정부로썬 최적의 경제협력대상 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우선 콜롬비아와의 FTA 협상을 조기에 개시하고, 남미공동시장과는 무역원활화 기본협정 체결방안을 검토하는 등, 중남미 시장 접근에 대한 어려움 해소와 함께 교역 다변화를 시도할 방침입니다.

또한, 베네수엘라와 페루 등이 참여하는 자원협력위원회를 통해 유전과 가스전 협력사업을 발굴하는가 하면, 우리 기업의 현지 쓰레기매립장 건설 등 녹색성장 분야에 대한 경제협력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밖에도 중남미와의 건설.산업과 경제협력 기반 확대를 위한 정부간 업무협약을 통해, 협력사업을 구체화하는 등 시장 개척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10일부터 이틀동안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남미 고위급 포럼을 계기로, 민간 교류의 활성화와 정부 차원의 협력이 상호보완 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KTV 이충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