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한미 정상회담이 우리나라의 안보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인데요.
이번 정상회담이 북핵과 한미 FTA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진단해봤습니다.
19일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은 향후 우리의 안보의 가장 큰 축인 남북관계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입니다.
전통적으로 북한은 한-미 정상의 공조가 강화된다 싶으면 군사적인 강경기조를 보여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정상회담 이후 12월 중 스티븐 보즈워스 미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방북이 예상되는 등 한반도 정세가 대화국면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점에서 북한이 과거처럼 강경기조를 고수하기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여기에 이번 정상회담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그랜드 바겐’ 구상에 오바마 대통령이 지지를 보낸다면 남북관계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 수도 있다는 분석입니다.
경제 분야에선 이번 정상회담을 바탕으로 한미 FTA가 과연 어느 정도 속도를 내느냐가 관심사입니다.
이명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한미 FTA 비준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눌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상당한 진전을 거둘 수도 있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하지만 양국이 대립 중인 자동차와 쇠고기 부문의 세부 협상이 제자리걸음을 계속한다면 기대 했던 수준의 진전이 힘들 것이라는 관측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KTV 최고다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313회) 클립영상
- 오늘 한미 정상회담…북핵·FTA 등 논의 2:17
- 한미 현안 논의, 한미동맹 재확인 1:35
- 52차례 한미 정상회담…이 대통령 7회 최다 1:47
- 정 총리 "세종시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 바람직" 2:01
- 세종시 자족기능 발전방안 모색 1:33
- 아프간 파견 병력 '상식선' 결정 2:00
- 내복의 힘, 체감온도↑···연간 1조4천억 에너지절감 2:14
- "G20에 개도국 목소리 적극 반영" 1:59
- 사전예약 이것만은 기억하세요 1:40
- 백신접종 이후 신종플루 증가세 '주춤' 0:29
- 전문기술인재-중소기업 '만남의 장' 2:47
- 상장사 실적, 경제위기 이전 회복 0:36
- 기부금 소득공제 한도 확대 추진 0:32
- 한·중 관광분야 교류촉진 '물꼬' 1:45
- 국세청 역외탈세 추적 전담센터 출범 1:34
- 국민 10명 중 3명 평생학습 1:27
- 오늘의 경제동향 2:23
- 취업후 상환 학자금제 시행방안 19:01
- 영화산업 지원 '경쟁력 중심으로' [정책&이슈] 25:06
- 청자 모란무늬 항아리 [한국의 유물] 1:55
- 긍정주의의 함정 [문화읽기] 7:43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