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현금영수증 챙겨서 '쓴 만큼 받읍시다'
등록일 : 2009.11.25
미니플레이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클릭 경제브리핑입니다.

큰 틀에서 경제를 볼 때, 무조건 아끼는 것만이 미덕인 시대가 아니라고들 얘기합니다.

특히 경기 불황기에는 기업들의 투자가 중요한데, 그러기 위해선 소비가 선행돼야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과소비로 인해 가계경제가 파탄이 난다면 이 또한 경제에 큰 부담을 주겠지만 말이죠.

대다수 직장인들의 경우 일년에 한번 자신의 소비를 뿌듯해 하는 때가 있습니다.

바로 쓴 만큼 돌려받는 연말정산의 시기인데요.

오늘 경제브리핑에선 올해 귀속분 연말정산을 앞두고, 현금영수증 사용 현황을 알아보겠습니다.

편의점이나 식당에서 현금영수증 잘 챙겨받고 계십니까.

혹 예전 제도에 익숙해서 아직도 5천원이 안 넘으면 발급 요구를 하지 못하고 계신 건 아닌지요.

국세청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를 통해서 올해 현금 영수증 발급 현황을 살펴보면 이렇습니다.

올해 9월까지 현금영수증 발급 건수는 32억7천만건으로 작년 같은 시기보다 13.3% 늘어났고, 금액으로는 49조7천억원 이상으로 작년 한해 전체의 80.8%에 달했습니다.

여기서 눈에 띄는 점은 이 가운데 5천원 미만인 발급건수가 16억7천만건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는 사실입니다.

금액으로 보면 전체의 7.3% 수준입니다.

지난해 7월부터 5천원 미만까지 현금영수증 발급이 확대되면서, 이후 소액 발급건수는 꾸준히 늘어왔습니다.

그러던 중에 경기침체로 주머니 사정이 어려워지자, 연말정산에서 조금이라도 더 돌려받기 위한 소비자들의 알뜰심리가 확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편 내년부터는 기부금에 대한 소득공제 절차도 많이 간편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국세청이 역점 추진하고 있는 연말정산 간소화 작업의 일환인데요.

국세청은 중앙선관위와 적십자사, 사랑의 열매 등 3곳에 대해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시범 실시하고, 내년 귀속분부터는 기부금 간소화 서비스를 전면 실시한다는 방침입니다.

이렇게 정부당국의 노력과 소비자의 호응에 발맞춰서, 현금영수증 가맹점도 제도가 도입된 2005년 1분기 90만4천곳에서 올 9월엔 208만4천곳으로 늘어났습니다.

근로소득자의 연말정산 공제대상 금액에는 배우자나 생계를 같이하는 직계가족의 사용금액도 포함됩니다.

청소년이 돈을 쓰고 현금영수증을 받았더라도, 부모가 연말정산때 자신의 현금영수증과 자녀의 것을 합산해서 공제받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나날이 호응이 높아지고 있는 현금영수증 제도, 아직 활용하지 않고 있다면 지금도 늦지 않았습니다.

일년 동안 쓴 만큼, '13월의 월급'이라는 별명에 걸맞은 두툼한 봉투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