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오늘 전략회의에선 정부의 종합적인 저출산 대응전략이 발표됐습니다.
중산층의 출산의지를 높이기 위한 정책이 강화되고,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1년 앞당겨 육아비용을 경감시키는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정부의 저출산 대책이 수요와 필요에 의한 맞춤형 정책으로 전환됩니다.
그동안 저소득층 위주의 출산지원정책에 치중했지만 앞으로는 중산층의 출산의지를 제고하기 위해 수요와 필요에 적합한 정책노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정부가 저출산 대응책 가운데 하나로 초등학교 입학연령을 1년 단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취학연령을 앞당김으로써 사회 조기 진출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부모의 양육부담을 덜어주자는 취지입니다.
저출산의 가장 큰 이유로 자녀 양육비 부담이 꼽히는 현실을 고려한 겁니다.
아이가 셋 이상인 다자녀 가구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도 적극 검토되고 있습니다.
셋째 자녀부터는 대학입학전형과 취업 시 우대 혜택을 주고, 고등학교 수업료와 대학 학자금을 우선 지원한다는 내용입니다.
다자녀 부모의 경우 정년을 연장해주는 방안도 포함됐습니다.
정부는 남성 직장인의 육아휴직을 장려하는 한편, 임신,출산 여성을 우대하는 기업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부여로 일과 가정의 양립기반을 강화해나가기로 했습니다.
또 복수국적을 허용하고, 이민정책을 개방적으로 전환하는 등 한국인 늘리기 프로젝트를 추진해 해외 우수인력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내년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수립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국무총리실에 저출산대책추진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KTV 김관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127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저출산 문제 해결하고 넘어가야" 2:08
- 출산 지원에서 '출산의지 제고' 노력 강화 2:15
- 윤증현 장관 "예산안 지연, 서민지원 차질 우려" 1:43
- G20 주도 국제공조로 경제위기 극복 1:34
- 정부-IT업계, 녹색성장 '대화채널' 구축 2:39
- '항공물류 엑스포' 유치로 1위 도전 2:46
- 한국, IMF 新차입협정 의장국 맡아 0:32
- 한·호주 FTA 3차협상 30일 개최 0:22
- 저탄소 실천 가정, 연간 11만원 절감 1:59
- 웹하드 업체 대표·헤비 업로더 17명 검찰 송치 1:55
- 종부세 납부 의무자 작년의 절반 1:36
- 생태관광자원 활성화 1:18
- 김윤옥 여사, 적십자사 '사랑의 선물제작' 봉사 0:34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7
- 영세운송사업자 차고지 확보 의무 면제 [생활공감] 8:00
- 사교육 줄이기, 정부 대책은 [정책진단] 25:48
- 청자 모란무늬 항아리 [한국의 유물] 1:55
- 미래에 투자한다, 취업후 상환 학자금제도 [현장포커스] 13:08
- 미술관의 화려한 외출 [문화현장] 8:27
- 김삼력 감독의 '하얀 나비' [날아라 독립영화] 7:06
- 오늘의 정책(전체) 20:23
- 교역 고속도로 FTA '활용해야 보배' 3:39
- 교육과학기술부 '만 5세 조기취학 TF' 구성 0:30
- 2011년도 전문대학 입학전형계획 발표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