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범죄 수사를 위해 휴대전화를 감청할 수 있도록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작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데요.
감청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기관이 직접 감청하기보다는 통신사업자가 감청 설비를 설치해 간접적으로 감청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국가 기밀에서부터 산업 핵심기술의 해외 유출 사건까지.
국가에 막대한 피해를 안겨주는 이런 범죄 사건에 휴대전화는 개인의 이동통신수단이 아닌 범죄의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대테러나 강력 범죄 수사상 필요할 경우 보다 쉽게 휴대전화를 감청할 수 있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현재 통신비밀법으로 감청할 수 있는 범죄는 모두 280개.
미국과 프랑스의 경우 300개가 넘는 범죄에 폭넓게 감청을 허용하고 있지만, 우리는 대상 범죄의 범위가 극히 제한적입니다.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작업은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이렇게되면, 국민 사생활과 인권을 침해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국민들의 기본권 보호를 위해 감청을 하는 주체와 감청설비를 보유한 주체를 서로 분리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이동통신회사가 휴대전화 감청 장비를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해 영장 발부 등 법적 요건이 갖춰지면 수사기관이 쉽게 감청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또, 통신사업자나 수사기관 근무자가 불법으로 감청한 사실을 알게 됐을 때, 내부 고발이 가능하도록 신고포상금제 등을 도입해 불법 감청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했습니다.
KTV 신혜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131회) 클립영상
- 정부 "불법파업, 법과 원칙 따라 엄정대처" 1:40
- 물류대란 현실화 되나 2:01
- 합법운동 보장, 불법 파업 엄정 대처 1:46
- 한-헝가리, 과학기술·문화·경협 등 교류 확대 2:20
- 정 총리, 세종시 해법마련 릴레이 의견 청취 2:00
- 불법 사금융 피해구제 재활 지원 2:29
- 국민생활 불편 227개 과제 개선 2:11
- 화장률 61.9%, 3명중 2명 화장 실시 0:31
- 北 화폐개혁 확인중·개성공단 피해 없어 1:55
- 수출, 위기 이후 1년만에 증가세 회복 2:03
- IMF 정책협의차 내일 방한 0:22
- 전국 아파트 관리비 공개…투명성 향상 1:44
- 만 8세 어린이 1회 접종으로 변경 1:47
- "감청대상 휴대전화 포함" 2:39
- 구세군 자선냄비 시종 24일까지 모금 1:53
- 해외전시회 선정, 참가기업 국고지원 0:30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3
- 철도노조 파업, 경제회복 이상없나 [긴급진단] 14:10
- 청자 모란넝쿨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 [한국의 유물] 1:55
- 세종시, 바람직한 대안 마련은 [정책진단] 24:33
- 장애인 맞춤형교육 지원 4:29
- 최고의 품질을 찾아라! - 조달청 품질관리단 [정책, 현장을 가다] 16:35
- 톡!톡! 정책정보 1:36
- 국민불만 해소 '만족할 때까지'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