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파업이 계속되면서 곳곳에서 물류대란의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건설 현장에선 자재 수급에 비상이 걸렸고, 수출기업들은 대체운송수단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대형 건설현장에서는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시멘트와 철근 등 필수 자재를 미리 쌓아 두는 현장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철도노조 파업이 장기화되면 건축자재 수급에 문제가 발생해 건설일정에 차질을 빚지 않을까하는 우려 때문입니다.
특히 시멘트가 걱정입니다.
건설자재 중 철도의 의존도가 가장 높은 품목이기 때문입니다.
시멘트는 유통기지를 중심으로 5일분 정도의 재고를 유지해야 하는데 현재는 1,5일분으로 떨어져 있는 상황입니다.
연말 물동량이 집중되는 수출업체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특히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의 타격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중소기업은 육로수송보다 운송비가 부담이 50-60%가량 적은 철도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이어서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큰 손실이 불가피합니다.
전문가들로 이번 철도파업이 장기화 되면 우리경제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될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빠르게 극복하며 새로운 회생의 불씨를 살려나가고 있는 우리경제에 이번 철도노조 파업은 살아난 불씨에 찬물을 뿌리고 있습니다.
KTV 강석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322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철도파업 이해할 수 없다" 1:22
- 정부 "불법파업, 법과 원칙 따라 엄정대처" 1:42
- 물류대란 현실화 되나 2:02
- 합법운동 보장, 불법 파업 엄정 대처 1:46
- "정치적 신뢰 이전에 국가명운의 문제" 1:56
- 전국 4대벨트 미래성장 축으로 육성 0:30
- 오늘 '낙동강 살리기 희망선포식' 1:33
- 정 총리, 세종시 해법마련 릴레이 의견 청취 2:01
- 외환보유액 2천708억달러 사상최고 경신 0:36
- "한·헝가리 수교 결단 신념 소중히 생각" 0:42
- 불법 사금융 피해구제 재활 지원 2:30
- 北 화폐개혁 확인중·개성공단 피해 없어 1:55
- 국민생활 불편 227개 과제 개선 2:11
- 화장률 61.9%, 3명중 2명 화장 실시 0:33
- 구세군 자선냄비 시종 24일까지 모금 1:53
- 오늘의 경제동향 15:14
- 소비자의 날 - 소비자권리 확대 [정책&이슈] 22:26
- 한국어 지도사 정덕영의 특별한 한글사랑 [릴레이 희망인터뷰] 3:44
- 송일곤 감독의 '시간의 춤' [날아라 독립영화] 18:19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