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파업이 일주일을 넘어 8일째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체 인력이 투입되고 있지만 여객과 화물열차 모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이러다가 물류대란이 현실로 다가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수도권 전동차 운행에는 별 문제가 없습니다.
KTX와 통근형 열차도 평소와 다름없이 운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새마을호와 무궁화호는 운행횟수가 평소의 60%수준에 머물러 승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더구나 파업이 일주일째로 접어들면서 투입됐던 대체인력의 피로감이 쌓이고 있어 파행 운행이 불가피해 봅니다.
화물열차 운행 차질은 더욱 심각합니다.
평상시 300대를 운영됐던 화물열차는 2일 현재 76대로 평소의 1/4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입니다.
업친데 덮친 격으로 대체 수송 수단도 여의치 않습니다.
화물연대가 철도노조의 파업을 지지하고 있어 물류차질 문제는 좀처럼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철도 운송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석탄과 시멘트업체들은 물류가 막히면서 재고가 바닥나 생산을 중단할 수밖에 없는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특히 연말 수출입 물량이 몰리는 수출업체와 운송업체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철도 노사간 대화가 재개될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철도 파업 장기화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우리경제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TV 강석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323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4대강 살리기, 수질악화 없을 것" 2:11
- 1천300리 낙동강 '생명의 강'으로 1:52
- 예산안 시한 넘겨…서민피해 우려 1:37
- 철도파업 일주일째…물류수송 차질 2:10
- 이 대통령 "혁신도시 계획대로 신속 추진" 1:29
- 이 대통령, 대구서문시장 방문 0:24
- 국토 대외개방형 미래 성장축으로 육성 2:21
- 지역별 특성 살려 관광·휴양·생태도시로 2:06
- LPG 6개사 담합…사상최대 과징금 1:38
- 녹색기술 기반 '제2 벤처붐' 조성 2:31
- 10억원 이상 고액 체납자 656명 공개 1:54
- 한-프랑스, 문화교류 방안 폭넓게 논의 2:36
- 오늘의 경제동향 2:32
- 톡!톡! 정책정보 1:38
- 데이터베이스 선진화 국가경쟁력 높인다 [정책&이슈] 32:41
- 청자 모란무늬 항아리 [한국의 유물] 3:58
- 지리산 둘레길 따라 산청 마을을 만나다 [대동문화도] 10:10
- 금지하면 더 하고 싶어지는 이유, 심리적 반발 [문화읽기] 9:32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