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안 법정처리 시한이 2주일이 지났음에도 예산안은 처리는 요원한 상태입니다.
만약 이렇게 2주가 더 지난다면 준예산 편성이 불가피한데요.
준예산이 편성되면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헌법 제54조는 국회가 12월 2일까지 예산을 확정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내년 나라 살림의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예산안 처리는 이미 2주일을 넘겨 버린 상태입니다.
이대로 2주일만 더 끌다가는 사상 초유의 ‘준예산’ 사태가 벌어질 전망입니다.
준예산은 회계연도 개시전까지 예산안이 의결되지 못할 때 전년도 예산에 준하여 집행하는 제도입니다.
국회에서 예산안이 의결될 때까지 헌법 제54조 제3항에 따른 경비에 한해 전년도 예산에 준하여 집행하게돼 있습니다.
이에따라 준예산 집행은 국가적 혼란 초래가 우려됩니다.
준예산이 편성되면 민생경제 및 서민생활 안정에 중대한 복지, 재난방지, 일자리 지원 사업 등 지원이 불가능해집니다.
또 사회서비스 일자리 등 고용사업 수행 불가로 정부가 내년에도 계속실시키로 한 희망근로프로젝트 등도 차질을 빚을수 밖에 없습니다.
아울러 날씨가 추워지지만 동절기에 취약한 보육원, 놀이시설 등 사회복지시설에대한 지원도 할 수 없게 됩니다.
이밖에 올해 처리되지 않으면 당장 내년부터 차질을 빚는 데도 안건처리가 공전되고 있는 것도 문제입니다.
우선 파병관련 법안은 연내처리 돼야 합니다.
소말리아에서 해적 퇴치를 담당하고 있는 국군의 파병 기한도 올해까지입니다.
또 기업의 구조조정에 대비해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자본시장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나 이밖에도 기업형 슈퍼마켓에 대한 규제를 담은 유통산업발전법도 시급히 손봐야 할 법안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정부는 연내 내년도 업무보고를 종결짓고 서민경제와 민생을 챙기기 위해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회가 뒷받침돼주지 않는다면 서민경제와 민생은 헛바퀴를 돌 수 밖에 없습니다.
KTV 최고다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141회) 클립영상
-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 유치 공식 표명 1:47
- 문화관광 분야 수출확대 전략 발표 2:26
- 2022년 월드컵 유치 본격 개시 1:51
- 新 아시아 외교, 아시아의 중심에서 3:28
- 준예산 편성시, 서민·경제 챙기기 차질 1:47
- 내년 국가 정보화사업에 2조783억원 투입 1:47
- "공공기관 선진화, 책임경영 안착이 관건" 2:09
- '연말연시 녹색생활 실천 동참하세요' 1:42
- 세무용어, 누구나 알 수 있게 개선 1:39
- 100대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우수학교' 선정 0:33
- 이 대통령, 일본 차세대 정치인 접견 0:31
- 이 대통령 "나라 기초 닦는데 최선 다할 것" 0:29
- 정 총리 "관계부처, 미소금융재단 지원해 달라" 1:42
- 복지분야 중장기 사회보장 발전방향 확정 1:39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3
- 교사의 열정이 교육의 미래 책임진다 [현장포커스] 11:36
- 토우 붙은 항아리 [한국의 유물] 1:55
- 국가경쟁력강화委, 규제완화 성과는 [정책진단] 30:44
- 프랜차이즈 활성화 4:31
- 중소기업의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라! [정책, 현장을 가다] 14:19
- 톡!톡! 정책정보 1:41
- 오늘의 정책(전체) 15:38
- 새해 정책초점 '서민경제에 온기를' 3:10
- 생활공감정책 발전방안 심포지엄 열려 2:16
- 서민 소액대출 '미소금융' 1호점 개소 2:05
- 대한민국 콘텐츠어워드 열려 0:22
- 이 대통령, 반기문 총장과 화상회의 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