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부터 논란소지가 있는 장애진단이 대폭 개선됩니다.
또 1~3급 장애 진단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심사가 강화됩니다.
새해부터 새로운 장애등급 판정기준이 시행됩니다.
이에따라 관절장애의 등급 세분화와 기능장애의 근력등급 추가, 뇌병변장애 장애판정시 마다 논란이 됐던 수정바델지수 적용 등 장애진단 기준이 개선됩니다.
수정바델지수는 보행상 기능장애를 평가하는 것으로 식사, 목욕, 몸치장, 옷 입고 벗기, 배변 배뇨 등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능력을 기초로 전체 장애기능 정도를 판정하는 지수입니다.
척추장애등급의 경우 기존 2,5,6급만 있었지만 앞으로는 3,4급이 신설됩니다.
또 폐이식으로 인한 호흡기 장애의 경우 장애등급 5급으로 신설했습니다.
심장이나 간질 장애의 경우 연령별 특성을 반영하여 성인과 소아 청소년의 장애진단 기준을 구분했습니다.
또 실제로 환자를 치료하고도 장애진단을 하지 못했던 류마티스 내과와 구강악 안면외과, 흉부외과, 산업의학과 전문의도 장애유형에 따라 장애진단을 할수 있도록 바뀝니다.
하지만 장애진단 심사요건이 강화됩니다.
새해부터는 의료기관의 진단의사가 1-3급 장애진단을 하는 경우 장애등급 심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심사된 장애기록지는 행정관청에 제출돼야 합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장애등급개선으로 인하여 과학적 객관적인 장애진단이 가능하며 장애판정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KTV 박영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145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새해 국정 제1목표도 일자리 창출" 2:16
- 새해 중소기업 일자리 20만개 창출 1:42
- 산업 활력 높여 5% 경제성장 달성 1:53
- 산업 생산성 향상 등 경제체질 강화 1:53
- 3대 어젠다로 방통통신환경 선진화 1:54
- 새해 예산안 지연 '서민경제' 파장 2:17
- 민생법안 표류, 내년사업 차질 우려 1:28
- 세종시 최종 대안 1월 11일 발표 0:32
- 세종시, 과학비즈니스벨트 현장 점검 1:48
- 사회통합위 23일 공식 출범…위원장에 고건 前 총리 1:36
- 자발적 참여로 '나부터' 정신 실천 1:38
- 암환자 5년 생존율 57% 달해 2:00
- 10명 중 3명 "결혼, 필수 아닌 선택" 1:42
- 새해부터 장애진단 신뢰 높인다 1:43
- G20 정상회의가 한국위상 제고에 긍정적 0:41
- 예술·체육 중점학교 내년 30곳 지정 0:39
- 산타 우체국 발대식 0:41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2
- 꿈이 있어 행복한 아이들 [현장포커스] 9:28
- 부처의 큰 깨달음에 대한 가르침 [한국의 유물] 1:51
- 선진방송환경 조성, 일자리 늘린다 [정책진단] 32:15
- 올 연말에는 나도 포인트 기부 [생활과 정책] 7:23
- 당신이 희망입니다 [KTV 영상에세이] 1:45
- 맑고 깊은 맛, 안동소주 [대동문화도] 8:34
- 오늘의 정책(전체) 17:30
- 경쟁으로 가격 낮추기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