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아랍에미리트의 원전 건설을 수주했습니다.
이는 그 자체로도 막대한 이득이지만, 향후 세계적으로 원전 건설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어서, 황금어장의 문을 열게 된 것으로 평가됩니다.
지난 1978년 고리원전 1호기가 가동된 이후, 우리나라에서 30여년간 생산된 전기는 2조 KwH.
서울에서만 70년간 사용할 수 있는 막대한 양입니다.
같은 기간에 석유를 사용했더라면 155조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원자력 발전보다 100배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유연탄의 소비량은 추산조차 어려울 정도입니다.
최근 기후변화 대응과 맞물려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이 한층 부각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 발전소는 2008년 기준 유럽 197기를 비롯해 아시아와 북미지역 등지에서 모두 436기가 운영 중입니다.
여기에다 2030년까지 중국이 100기의 원전 건설 계획을 발표하는 등, 430기가 더 들어설 전망입니다.
세계 원자력 협회는 이 기간까지 원전 시장 규모가 1천2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이번 수주가 원자력 기술의 첫 수출인 동시에, 향후 해외시장 진출에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아울러 당장 내년에는 터키와 요르단 원전 수주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북미 시장을 목표로 한 미국 표준설계 인가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KTV 박진석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341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노동법 혼란 없도록 철저 준비" 1:19
- 노동부 '복수노조·전임자' 행정예고 2:24
- 이 대통령 "검·경·국세청 근무제도 개선" 0:32
- 이 대통령, 중소기업인들과 '깜짝 송년회' 2:07
- 재정 조기집행 차질, 예산안 처리 촉구 1:47
- 11월 누적 경상흑자 사상최대 기록 1:27
- "세종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대안" 2:00
- 세종시 발전, 2가지 모델 제시 2:20
- 권익위, 부상 전의경 무상 입원치료 추진 0:35
- 2013년까지 국립묘지 13만7천기 추가 조성 0:36
- 1천200조원 황금어장 문 열렸다 1:47
- 청소년, 탄산음료와 섭취율 낮아져 0:37
- 아시아 '금융위기 안전판' 마련된다 1:43
- 새해 국격 향상 프로젝트 가속화 3:13
- 오늘의 경제동향 2:56
- 미소금융 본격가동, 서민경제에 미소를 [현장포커스] 9:32
- 풍요로운 농촌을 만들어가는 농민 장미영 [릴레이 희망인터뷰] 4:11
- 국가상징 문화공간 조성 국가품격 높인다 [정책&이슈] 22:53
- 청자 모란넝쿨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 [한국의 유물] 3:00
- 공연예술의 역사와 문화 엿보기 [문화현장] 18:17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