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7년부터 작년까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물가안정 목표 범위인 3.3%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변동성이 이전보다 크게 확대된 만큼, 3년 단위로 하던 물가안정목표제에 대한 점검을 매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2007년부터 3년동안 기록된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평균 3.3%.
한국은행이 당초 전망했던 물가안정목표는 3%로, ±0.5%에 이르는 오차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기간 농축수산물은 안정적인 기상 여건에 힘입어 오름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석유류 가격 안정에도 불구하고 공업제품 가격은 3년 전보다 큰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서비스 가격 역시 공공요금 안정에도 불구하고, 집세가 상승하면서 오름폭이 확대됐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 3년간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큰폭으로 하락하는 등, 이로 인한 공급충격이 소비자물가의 흐름을 좌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 만큼 소비자물가의 표준편차가 확대되는 등 변동성이 커졌다는 겁니다.
따라서, 일시적인 물가 급변동에 대응하기보다, 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물가안정 목표제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한은은 물가안정목표의 변동 허용폭을 상하 0.5%포인트에서 1%포인트로 확대하고, 목표관리 방식도 기존 3년 평균이 아닌, 매년 점검하는 방식으로, 2010년 이후 중기물가안정목표를 설정했다고 밝혔습니다.
KTV 이충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발 정책 투데이 (157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선진일류국가 기초 닦는 해 돼야" 1:44
- 일자리 창출·교육개혁 '매진' 2:00
- 이 대통령 “4대강 살리기 사업 지역의견 적극 수렴” 2:12
- 이 대통령 "예산 신속집행 일자리 창출 집중" 1:44
- 올해 예산 70% 상반기 조기집행 1:39
- 윤증현 장관 "희망근로·공공인턴 1월 시행" 0:30
- 조간 브리핑 8:50
- 제설·교통·물류 등 긴급 대책 마련 1:53
- 세종시를 과학기술의 메카로 1:43
- 초중등 교과활동 창의·인성 교육 강화 1:52
- 물가안정 목표 관리, 해마다 점검 1:43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