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세종시 원안과 발전방안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자족기능과, 인센티브 등 주요내용 하나하나 비교해 보겠습니다.
세종시 원안과 발전방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자족기능의 현실성 여부입니다.
행정기관 이외의 자족기능이 저절로 채워질 것이라는 원안의 낙관적 전망과 비교해 발전방안은 세종시에 산업, 대학, 연구기능을 대거 유치해 원안 고용인구인 8만3천명보다 3배 가까운 25만 명이 실제로 늘어날 수 있도록 교육과학중심의 경제도시로 개발하겠다는 전략입니다.
이를 위한 자족기능으로 원안은 행정기관과 국책연구기관, 대학의 소규모 유치를 내놨고 발전방안은 과학비즈니스벨트를 비롯해 국책연구기관과 삼성 등 대기업, KAIST와 같은 대학 캠퍼스 확장 유치 방안을 내놨습니다.
정부는 이미 10조3천6백여억 원의 유치 실적을 발표한 상태입니다.
세제 등 인센티브에 있어서도 원안에는 부지 저가 공급 등 재정지원이 빠졌지만 발전방안에는 인근 산업단지와 같은 부지공급과 기업도시 수준의 세제지원, 과학벨트법에 근거한 규제완화 방안 등이 담겨 있습니다.
투자규모 또한 국고 8조5천억 원이 전부인 원안에 비해 발전방안의 경우 과학비즈니스벨트와 민간투자 등 8조원을 끌어들여 총 16조5천억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세종시 개발의 투자유치면적도 발전방안이 원안보다 3.5배 늘어난 901만 제곱미터로 조기개발과 인근지역 공동발전체계가 구축될 경우 세종시가 충청도의 섬이 아닌 성장축으로서 발전할지에 관심이 모아집니다.
KTV 김용남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350회) 클립영상
- "세종시를 국가발전의 전진기지로.." 1:32
- 정 총리 "온 힘 다해 세종시 수정 설득하겠다" 0:31
- 이 대통령 "세종시, 국가경쟁력 제고 위한 순수 정책" 1:48
- 5대 성장기능 갖춘 '자족도시' 조성 2:17
- 4조5천억원 기업투자, 2만2천500명 고용 2:40
- 경제단체, "국가경제 발전 긍정적 효과" 0:48
- 투자기업에 토지, 세제지원 인센티브 1:27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세종시에 조성 2:27
- 세종시, 사통팔달 교통망 갖춘다 1:38
- 원주민 주거·취업 지원 대폭 강화 1:55
- 자족기능·인센티브 등 확실한 실행 담보 1:51
- 자족기능 부재·행정비효율 문제 3:33
- 문답으로 풀어보는 세종시 계획 2:04
- 오늘의 경제동향 2:35
- 2010년, 국격 향상의 원년으로 [현장포커스] 8:59
- 교원평가제 '이렇게 실시' [정책&이슈] 25:43
- 백자 매화 대나무 새무늬 항아리 [한국의 유물] 3:01
- 신나는 겨울방학, 즐거운 동물학교 [문화현장] 17:55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