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앞서 보신 것처럼 이명박 대통령의 인도 방문 일정이 마무리됐는데요.
한·인도 CEPA 협정의 발효에 이어 관계 격상으로 12억 거대시장 인도가 한층 가까이 다가왔습니다.
양국 관계 강화로 기대되는 점을 정리했습니다.
12억명의 인구에 구매력 세계 4위의 거대시장 인도.
올해부터 발효된 한·인도 CEPA 발효로 우리나라는 인도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올랐습니다.
우리 수출품 85%의 관세가 없어지거나 낮아지면서, 연평균 1억4천만달러의 무역흑자가 예상됩니다.
정무섭 삼성경제연구소 박사
“향후 인도 경제가 3위 정도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잠재적인 기대효과가 굉장히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명박 대통령의 인도 방문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전략적 동반자관계'로 격상되면서 인도시장에 대한 기대감은 한층 높아졌습니다.
정상들이 두 나라의 교역량을 5년 안에 3백억 달러로 늘리기로 했고, IT 하드웨어 제조에 강한 우리나라와 수준 높은 소프트웨어 서비스에 강점을 가진 인도가 상호 보완적인 관계여서, 앞으로의 시너지도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이 강조한 원전 협력에 대해 인도 싱 총리가 긍정적인 검토를 약속하면서, 아랍에미리트에 이어 또 한번의 원전 수출도 기대해볼 수 있게 됐습니다.
시장 개방에 이은 관계 격상으로 한·인도간 교역이 새로운 전기를 맞은 가운데, 우리 기업들의 인도 진출에 한층 가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KTV 이해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171회) 클립영상
- 北 해안포 발사…南, 도발행위 중단 촉구 2:08
- 경상흑자 426억7천만달러 사상최대 기록 1:36
- 이 대통령 "OECD서 1·2위의 높은 경제성장 할 것" 2:08
- 한층 가까워진 12억 거대시장 인도 1:57
- 세종시 발전안 입법예고, 2월중 국회로 1:49
- 첨단의료복합단지 특화 방안 확정 1:41
- 신성장동력산업 주요 투자정보 공개 1:33
- 중소기업 설 정책자금 11조원 지원 2:17
- 법무부, 수형자 취업, 창업 본격 지원 1:54
- '착한 소비' 곧 기부, '행복나눔 N 캠페인' 협약 체결 2:12
- '대충청 방문의 해' 개막식 열려 2:22
- 권익위, 이동신문고로 '국민과 소통' 2:51
- 정총리 "공교육 개선과 사교육비 경감 최우선" 0:32
- 한국장학재단, 저소득층 장학금 신청접수 0:32
- 미래성장 기술분야 인력 2만명 양성 0:23
- 기업수요형 '이공계 인력 연수'확대 0:36
- 완화의료 건강보험 시범사업 실시 0:30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5
- '교차로 꼬리물기' NO [현장포커스] 9:47
- 식리총 출토 금동 신발 [한국의 유물] 1:42
- 유네스코 문화예술교육대회 준비 상황은 [정책진단] 23:15
- 대중교통, 편리하게 이용한다 - 국토해양부, TAGO시스템 [생활공감] 9:32
- 손재명 감독의 '약수터 부르스' [날아라 독립영화] 6:35
- 찬란한 서양미술의 세계 [문화현장] 8:44
- 오늘의 정책(전체) 20:36
- 알뜰한 차례상 '이렇게' [클릭 경제브리핑] 3:02
- 정부, 경계태세 강화…남북대화는 지속 3:01
- 신생아 선천성 이상 심장질환 1위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