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국민 한 사람의 쌀 소비량은 74kg로 조사됐습니다.
고기나 빵, 과일 등이 쌀 밥을 대신하게 되면서 쌀소비량이 26년째 줄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
우리 식탁의 엄연한 주인공 역할을 해온 쌀밥.
하지만 식생활이 다양해지고, 간편함을 추구하면서 쌀소비량은 계속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74kg으로 전년 대비 1.8kg 감소했습니다.
10년 전인 1999년 96.9kg에 비하면 23kg이나 줄었습니다.
쌀소비량은 지난 1984년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걸어왔습니다.
육류나 곡물 가공품 등이 쌀을 대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 증가로 시리얼이나 빵, 라면 등 대체식품 소비가 늘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비슷한 기간 1인당 축산육류 소비량과 과실 소비량은 각각 5kg과 9kg 정도 증가했습니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쌀이 주식인 일본이나 대만 역시 쌀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지만, 그 추세는 우리보다 더딥니다.
두 나라는 10년 전에 비해 각각 6kg, 7kg 정도 줄어든 데 그쳤습니다.
감소율이 우리나라의 1/3수준입니다.
이런 가운데 행정안전부는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매월 둘째, 넷째주 목요일을 우리 쌀국수의 날로 지정했습니다.
쌀국수의 날에는 정부중앙청사 구내식당에서 쌀국수와 쌀떡국 등 쌀을 이용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행안부는 과천청사와 대전청사 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까지 쌀국수의 날 참여를 유도할 계획입니다.
KTV 김관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172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오늘 다보스포럼 특별연설 1:59
- 'G20회의 개최국' 국격 향상 재확인 1:32
- 사공일 위원장, 다보스포럼서 기자회견 0:30
- 제조업 체감경기 7년여만에 최고치 2:14
- 디자인 산업 육성 연간 1천억원 투입 1:18
- 복권 당첨금, 연금으로도 받는다 1:40
- 정부, 30일내 PKO 신속파병 추진 1:35
- 北, 연평도 인근에 이틀째 해안포 사격 0:25
- "G20 개최국 걸맞게 관세행정 선진화" 1:56
- 탈북주민-중소기업 맞춤형 취업 지원 2:26
- 지난해 국민 1인당 74kg 쌀 소비 1:50
- 전국 분묘 중 무연고 묘 30% 2:23
- 비리기업, 영업정지·입찰제한 강화 1:53
- '영어 쉽고 재미있게' 수업 모델 개발 보급 2:53
- 의료기기 산업 활성화 적극 지원 1:58
- 폴란드 한국문화원 개원 0:32
- "문화가 숨쉬는 학교 만들어 봐요" 2:02
- 이명박 대통령 다보스포럼 특별연설 16:13
- 말 탄 사람 토기 [한국의 유물] 1:50
- 디자인 파워가 국격 높인다 [G20 글로벌 코리아! 국격을 높여라] 20:07
- 톡!톡! 정책정보 1:57
- 오늘의 정책(전체) 12:15
- 이대통령 스위스 다보스 포럼 연설 중계 16:31
- 농진청, 난 신품종 평가회 개최 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