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국민 한 사람의 쌀 소비량은 74kg로 조사됐습니다.
고기나 빵, 과일 등이 쌀 밥을 대신하게 되면서 쌀소비량이 26년째 줄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
우리 식탁의 엄연한 주인공 역할을 해온 쌀밥.
하지만 식생활이 다양해지고, 간편함을 추구하면서 쌀소비량은 계속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74kg으로 전년 대비 1.8kg 감소했습니다.
10년 전인 1999년 96.9kg에 비하면 23kg이나 줄었습니다.
쌀소비량은 지난 1984년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걸어왔습니다.
육류나 곡물 가공품 등이 쌀을 대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 증가로 시리얼이나 빵, 라면 등 대체식품 소비가 늘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비슷한 기간 1인당 축산육류 소비량과 과실 소비량은 각각 5kg과 9kg 정도 증가했습니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쌀이 주식인 일본이나 대만 역시 쌀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지만, 그 추세는 우리보다 더딥니다.
두 나라는 10년 전에 비해 각각 6kg, 7kg 정도 줄어든 데 그쳤습니다.
감소율이 우리나라의 1/3수준입니다.
이런 가운데 행정안전부는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매월 둘째, 넷째주 목요일을 우리 쌀국수의 날로 지정했습니다.
쌀국수의 날에는 정부중앙청사 구내식당에서 쌀국수와 쌀떡국 등 쌀을 이용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행안부는 과천청사와 대전청사 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까지 쌀국수의 날 참여를 유도할 계획입니다.
KTV 김관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363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지원 당부" 2:08
- "김정일 위원장 안만날 이유 없어" 0:42
-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G20 서울 의제로" 2:21
- 이 대통령 다보스 포럼 특별연설 '기립 박수' 2:13
- 정 총리 "北도발, 철저한 대비태세 갖춰야" 0:31
- 페루 고립 한국인 관광객 34명 전원 구조 0:32
- 제조업 체감경기 7년여만에 최고치 2:16
- 복권 당첨금, 연금으로도 받는다 1:41
- 정부, 30일내 PKO 신속파병 추진 1:34
- "G20 개최국 걸맞게 관세행정 선진화" 1:56
- '영어 쉽고 재미있게' 수업 모델 개발 보급 2:52
- 방치된 묘 6백만 기 2:22
- 의료기기 산업 활성화 적극 지원 1:57
- 지난해 국민 1인당 74kg 쌀 소비 1:51
- 오늘의 경제동향 2:54
- 새만금 내부개발 기본구상 및 종합실천계획 브리핑 4:35
- 신아시아외교 방점 찍다 [정책&이슈] 25:34
- 물가풍경무늬 정병 [한국의 유물] 4:00
-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19:38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