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농산물에 농약과 같은 유해물질이 남아 있는지, 잔류조사가 실시됩니다.
부적합 판정이 나면 전량 폐기되거나 출하가 연기됩니다.
재작년, 온 나라를 떠들석하게 했던 중국산 멜라민 식품 파동.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정부가 올해 관리대상으로 정한 유해물질은 모두 6개 분야입니다.
농약과 병원성 미생물, 중금속, 곰팡이 독소에, 방사능과 다이옥신이 올해 새로 추가됐습니다.
특히 국민들의 식탁에 자주 오르는 쌀과 보리, 콩, 감자 등 54개 농산물을 집중 점검해, 부적합한 식품이 시장에 유통되지 않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영효/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농산물의 안전성을 위해 생산단계에서만 진행되는 조사를 유통단계까지 확대했습니다. 올해는 2천건 정도, 특히 국민들이 많이 가는 재래시장 같은 다중 소비처를 대상으로 실시하고요. 앞으로 점차 물량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농산물품질관리원은 농산물 안전실태를 평가하기 위해, 올해 처음 농산물 유해물질 잔류조사를 도입한 상태입니다.
어떤 농산물에 농약과 같은 유해물질이 남아있는지 잔류 정도를 파악해, 앞으로의 정책 수립에 활용하는 겁니다.
정부는 학교와 같은 집단급식소에 공급되는 농산물에도 잔류농약 조사를 실시하고, 부적합 판정이 나면, 전량 폐기하거나 출하를 연기하도록 했습니다.
KTV 김민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367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일부 지자체 에너지 절감정책 역행" 1:58
- 핵심 녹색기술 개발 녹색성장 성과 도출 1:44
- 재산세, 에너지 사용량따라 차등 부과 1:37
- 북한, 8일 금강산 실무회담 개최 수용 1:52
- 북한 6자회담 복귀가 우선 1:49
- "쌀 싸게 공급하는 방법 찾아야" 0:28
- 공무원 임용시 한국어 시험 도입 1:30
- "문화예술교육 방향성 정립 기여" 1:57
- 2012년까지 인체조직 통합전산망 구축 1:57
- 장기이식용 무균돼지 대량생산 '성큼' 1:48
- 중소기업 FTA 활용지원센터 가동 1:42
- 부동산 실거래가 허위신고 처벌 강화 0:29
- 설 차례용품 전통시장이 20% 저렴 0:32
- 설 앞두고 갈치 3천3백t 조기 방출 0:21
- 농산물 유해물질 잔류조사 도입 1:45
- 오늘의 경제동향 15:48
- 대규모 규제개혁··· 민간주도 경기회복 [정책&이슈] 21:20
- 감은사 터 동삼층석탑 사리갖춤 [한국의 유물] 4:18
- 오래된 집의 이야기 1. 전통 안에 살다 - 아산 [대동문화도] 9:09
- 슬픔에 관하여 [문화읽기] 10:55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