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클릭 경제브리핑입니다.
악성채무를 탕감받고 새출발을 하게 된 개인회생제도 졸업자가, 지난해 처음으로 천명을 넘어섰습니다.
개인회생제도가 도입된 지 5년 만에 본궤도에 올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데요.
작년에 법원의 면책 결정으로 개인회생이 완료된 개인 채무자는 천예순세명으로 집계됐습니다.
2005년에 한명에 불과했던 졸업자는 조금씩이긴 하지만 꾸준히 늘어나다, 작년에 폭발적으로 늘어난 겁니다.
2004년 9월에 처음 도입된 직후에 개인회생을 신청했던 초기 신청자들 가운데, 회생계획에 따라 5년간 채무변제를 마친 졸업자들이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개인회생제도는 법원이 강제로 채무를 조정해서 파산을 막아주는 일종의 개인 법정관리 제도입니다.
봉급생활자나 소규모 자영업자 등 파산에 직면해도 고정수입이 있는 서민층이 대상인데요.
통상 3년에서 5년 동안 소득 중 꼭 필요한 생계비와 각종 세금을 제외한 나머지로 빚의 일부를 성실히 갚으면, 남은 빚을 전액 면제해 주는 방식입니다.
파산선고와 달리 불명예나 해고, 자격취소 등의 신분상 불이익이 없는 데다, 사채가 있거나 신용불량자로 등록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어서 호응이 높습니다.
개인회생제도 신청자는 2004년부터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다 2008년에 다소 줄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았던 작년에 다시금 5만4천6백여명으로 늘어났는데요.
이런 가운데 작년 말 현재 개인회생 신청자 총 26만7천여명 중에 18.8%만 중도 하차했고, 나머지 대다수는 정해진 변제계획에 따라 매달 성실히 빚을 갚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인회생제도는 2004년 이른바 '카드대란' 사태 직후 넘쳐나는 신용불량자들을 구제하기 위해 도입됐습니다.
이제 제도 시행 5년만에 본궤도에 오른 만큼, 일각에서 제기되는 채무자들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보다 철저한 예방책으로, 서민경제의 붕괴를 막는 확실한 안전판으로 안착시킬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185회) 클립영상
- 이상화 빙속 500M 금메달 쾌거 1:27
- 빙속, 금빛질주에 국민들 열광 1:58
- 이 대통령, 금메달 이상화 선수에 축전 0:34
- 윤증현 장관 "올해 무역흑자 200억달러 달성 전망" 1:43
- 건전성 관리로 2013년 균형재정 달성 1:30
- 수도권 인구유입 11년만에 최소 1:32
- 국가기술자격체계 전면 개편 1:58
- 이 대통령 "졸업식 뒤풀이, 우리 사회의 중병" 1:30
- 청와대 비서관 2명 후임인사 0:34
- 교육행정시스템 '나이스' 편의성 확대 2:07
- '잘 가르치는 대학' 매년 30억 지원 1:52
- TaLK프로그램, 학생·장학생 모두 '만족' 0:39
- 아이티 재건지원단 이달말 파병 1:38
- 인천공항 '5년 연속 세계 최고' 등극 1:36
- 해외 종자채취 국내 전환 업체 지원 2:01
- 40개 재외공관, 한식 해외홍보 앞장 1:54
- 새해 첫달 막걸리 수출 '쾌조의 출발' 0:23
- 2010 재외문화홍보관 회의 열려 2:14
- 한·터키 FTA 협상 이르면 4월 개시 0:32
- 새 천원권 연결형 경매, 이웃돕기 등 기탁 0:23
- 국세청, 100여명 '현장 중심' 재배치 0:19
- 전재희 장관 "음주사고 없는 신학기가 되길" 0:28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3
- 문화재 '원형 그대로' 살린다 [현장포커스] 8:19
- 말 탄 사람 토기 [한국의 유물] 1:50
- 한식 세계화, 민관이 함께 뛴다 [정책진단] 25:15
- 방치됐던 공터를 주민쉼터로 '동네마당 조성사업' [생활공감] 10:08
- 장건재 감독의 '회오리 바람' [날아라 독립영화] 6:09
- 외국인 사랑방의 친절한 도우미 폴 핫세 [릴레이 희망인터뷰] 3:40
- 오늘의 정책(전체) 20:33
- 본궤도 오른 개인회생제도 2:35
- 안병만 장관 "건전한 졸업식 문화 만들어야" 0:29
- '길 위의 인문학' 캠페인 전개 0:28
- 온실가스 다배출 업체 지정 관리 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