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1년새, 기초학력에 미달하는 학교가 크게 줄고 방과후 학교를 통한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공교육의 핵심인 교사의 열의가 성적 향상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계속해서 전해드립니다.
지난해 학력향상 중점학교로 선정된 초중고등학교는 전국 1440곳.
이들은 기초학력 미달기준에 따라 상대적으로 학력이 저조하다고 평가된 곳입니다.
정부는 1년간 예산 840억원을 들여 이 학교들을 대상으로 학습보조강사 지원과 맞춤형 학습지도 등 전방위적인 지원을 해왔습니다.
그 결과 185곳을 제외한 나머지 1255개 학교의 학력이 개선돼 지원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대신 480개 학교가 신규 지원 대상으로 선정돼 올해는 총 673곳에 대해 정부 지원이 이뤄집니다.
사교육 대책 가운데 하나로 추진되고 있는 방과후학교도 가시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경우 방과후 학교에 참여한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보다 기초학력 미달율이 1/3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통해 사교육 광풍을 극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엿보이는 대목입니다.
이밖에 학생의 적극적인 학습참여와 교사의 열의가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한 학생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학교에서 친구들과 잘 어울리고, 학교에 대한 자부심 등 학교풍토가 좋다고 느낄수록, 또 교사가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학부모가 자녀의 학업에 관심이 높을수록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TV 김관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333회) 클립영상
- 초·중·고 학업성취도 전년 대비 학력 향상 2:14
- 방과후 학교·교사열의가 성적개선 영향 1:49
- 이 대통령, 마하마 가나 부통령 접견 0:37
- 올림픽 선수단 공식 해단식 열려 2:33
- 이 대통령, 밴쿠버 동계올림픽 참가선수단 오찬 격려 0:39
- 윤증현 장관 "비인기종목팀 운영기업 세제혜택 검토" 0:29
- 노인진료비, 지난해 총 진료비 30% 차지 1:16
- 남북, 실무접촉 공감대 형성 협의 계속 2:00
- 공군 전투기 비행중단…안전점검 0:34
- 산림청, 오는 15일까지 해송림 항공방제 0:34
- 2012년까지 서비스 R&D 3천억원 투자 0:32
- 15개 대학 선정, 대학생 창업 지원 1:27
- 정 총리 "창조형 글로벌 인재 키워내야" 0:33
- 완주, '농촌형 녹색마을 조성' 첫 선정 1:32
- 작년 경제위기 속 적자가구는 줄어 0:36
- 신학기 학교 전염병 조심하세요 2:04
- 제조업 압도하는 서비스업 고용효과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