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클릭 경제브리핑입니다.
세금도 신용카드로 낼 수 있는 신용의 시대에, 대학 등록금은 아직도 대부분 현금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학부모들의 허리를 휘게 하는 등록금 천만원 시대에 말이죠.
먼저, 현재 등록금 카드 납부가 가능한 대학들의 현황을 살펴보면 이렇습니다.
올해 1학기를 기준으로 전국 3백여든아홉개 대학 중에 등록금을 신용카드로 낼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곳은 모두 일흔곳으로, 전체의 18%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그런데 이 마저도 제대로 지켜지질 않아서, 일부 대학은 가맹점 계약을 체결하고도 카드 결제를 거부해, 시민사회 단체로부터 검찰에 고발 당한 상탭니다.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르면 신용카드를 사용한다는 이유로 가맹점이 거래를 거절하면, 1년 이하의 징역이나 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처벌을 받게 됩니다.
일부 대학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교양강좌의 수강료는 카드로 받으면서, 정작 등록금은 현금 납부만 허용했던 것으로 전해져서 학부모들의 원성을 사고 있습니다.
OECD 교육지표를 보면, 우리나라의 대학 등록금은 미국에 이어서 두 번째로 비쌉니다.
그도 그럴 것이, 요즘 대학 등록금은 일년에 천만원, 한 학기에 500만원 안팎에 달합니다.
대학생 자녀가 2명만 있어도 한 학기에 천만원을, 그것도 전액 현금으로 마련해야 하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등록금 카드 납부를 받으면서도 수수료 부담을 덜고 있는 몇몇 대학들의 사례는, 합리적인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연세대는 주거래은행인 우리은행과 수수료를 0.5%로 낮추기로 협약을 맺고 신용카드를 받고 있고, 전북은행은 전북지역의 주요 대학과 협약을 맺어 등록금 결제때 수수료를 아예 받지 않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주요 대학이 카드사와 가맹점 계약을 체결하도고 카드 납부를 거부하는지에 관해서, 실태 점검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소비자가 왕'인 시대, '교육 소비자'인 학생과 학부모들도 왕으로 대접받는 날이 앞당겨지기를 기대해봅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 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199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연말까지 3대 비리 발본색원" 1:39
- 시·도교육감 '무소불위' 권한 견제장치 없어 1:45
- 위례신도시 사전예약 순조로운 진행 2:14
- 생활중심형 자전거 인프라 확충 2:00
- 약수터·샘터, 5곳 중 1곳 '식수 부적합' 1:41
- 2012년까지 3D 전문인력 7천명 양성 2:20
- 유럽 환경규제, 기업 대응 서둘러야 2:00
- 전국 예술강사 4100여명 결의 다졌다 3:03
- 재외 한국학교 현대화에 예산 91% 증액 0:32
- 이 대통령 연설문집 제2권 발간 0:32
- 다자녀 가구, 자동차 취득·등록세 감면 0:33
- 여성부, '여성가족부'로 개편 0:21
- 공공정보 이제 손쉽게 활용한다 2:00
- 가족과 함께하는 입영문화 2:04
- 중소식품업체 시설자금 1천만원 지원 1:55
- 31개 지자체 참여 '해양벨트' 구축 1:37
- 윤증현 장관 "공공기관 성과 연봉제 확산 필요" 2:15
- 학업성취도 평가…학력 향상 비결은? 6:43
- 사회복지시설 특성화·다기능화 사업 실시 0:29
- 소방검정업무 민간에 전면 개방 0:29
- '취업지원관' 30-40대 고학력자 대거 지원 0:33
- 바이러스 진단키트로 농가피해 줄여 0:27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39
- 녹색성장으로 국가경쟁력 높인다 [정책진단] 27:24
- 식리총 출토 금동 신발 [한국의 유물] 1:43
- 특수교육, 장애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정책, 현장을 가다] 18:33
- 톡!톡! 정책정보 1:50
- 오늘의 정책(전체) 22:37
- 등록금 카드납부 '교육 소비자도 왕' [클릭 경제브리핑] 2:28
- 1인당 대중교통비 5만4천원 감소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