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약수터나 샘터 등 먹는물 공동시설 다섯 곳 중 한 곳은 마시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서울과 인천, 부산 등 인구밀집지역의 오염이 심각했습니다.
정부가 지난해 전국의 먹는 물 공동시설 1천578곳을 검사한 결과, 이 가운데 22.8%가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했습니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은 2007년 24.4%에서 2008년 다소 감소하다, 지난해 다시금 증가한 겁니다.
특히 서울과 대구, 부산, 인천 등 인구밀집지역의 오염도가 심각한 반면, 제주와 전남, 경북, 경남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오염된 약수터는 일반세균과 총대장균 등 대부분 미생물 기준을 초과했습니다.
비로 인한 주변 오염물질 유입과 등산객 이용자의 증가, 야생동물 배설물의 영향 등이 주 원인이었습니다.
환경부는 우선 지자체별로 55곳의 시설을 폐쇄하는 한편, 일부 시설물에는 미생물 살균기를 설치하도록 의무화했습니다.
더불어 약수터 이용객들이 보다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수질개선을 위한 관리 대상과 방법을 한층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와함께 약수터 이용자들에게도 물을 마시기 전에 수질검사 결과 안내판을 반드시 확인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KTV 김미정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337회) 클립영상
- 생활중심형 자전거 인프라 확충 2:06
- 다자녀 가구, 자동차 취득·등록세 감면 0:36
- 여성부, '여성가족부'로 개편 0:28
- 위례 보금자리 오늘부터 접수 시작 0:28
- 유럽 환경규제, 기업 대응 서둘러야 2:00
- 재외 한국학교 현대화에 예산 91% 증액 0:33
- 바이러스 진단키트로 농가피해 줄여 0:29
- 이 대통령 연설문집 제2권 발간 0:34
- 약수터·샘터, 5곳 중 1곳 '식수 부적합' 1:41
- 공공정보 민간활용 정부가 나선다 0:29
- 2012년까지 3D 전문인력 7천명 양성 2:20
- 이 대통령 "연말까지 3대 비리 발본색원" 1:19
- 시·도교육감 '무소불위' 권한 견제장치 없어 1:47
- 정부, 러시아 여행경보 상향조정 검토 1:45
- 게임중독 대응예산 10배로 증액 2:10
- 여수-상하이 엑스포, 성공개최 상호협력 1:48
- 사회복지시설 특성화·다기능화 사업 실시 0:32
- 등록금 카드납부 '교육 소비자도 왕'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