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클릭 경제브리핑입니다.
출산율이 낮아지는 대신에 평균수명은 길어짐에 따라서, 우리 사회는 급속하게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 사회에서 인구 비중이 갈수록 늘고 있는 어르신들에 대해서, 오로지 젊은층이 부양해야 할 대상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사실인데요.
하지만 한국보건사회 연구원이 내놓은 분석 결과를 보면, 결코 그렇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경제 활동인구로 분류돼온 65세 이상 노인들이 한해에 생산하는 경제적 가치는 48조7천억원 이상으로, GDP의 5.4%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유급노동을 통해 생산하는 경제적 가치가 전체 GDP의 3% 이상을 차지했고, 가사노동과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서도 상당한 경제적 가치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생산활동 참여율을 보면 유급노동 시장 참여자는 41% 정도를 차지했지만, 가사노동과 자원봉사 활동까지 범주에 넣으면 참여율은 91%로 높아졌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런 다양한 생산활동이 창출하는 경제적 가치는, 노인 한명당 1천 14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는데요.
이번 조사 결과는 노인의 생산활동 가치를 분석한 첫 연구 사례로, 최근 부각되고 있는 정년 연장과 노인 일자리 창출 논의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그 동안에 고령인구를 사회의 부담으로만 바라보던 인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는 얘깁니다.
정부가 노인 일자리 사업에 올해만 1천300억원을 투입하는 등, 고령인구의 경제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홍청자(67) /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집에 있는 것보다 이렇게 나와서 사람들 만나니 좋고 또 용돈벌이도 되고 해서 참 좋아요...“
최기호 / 보건복지가족부 공공지원팀 사무관
“저소득 노인에 대한 경제활동 기회 보장을 위해 올해 18만 6천개까지 일자리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요즘 어르신들은, 몸만 건강하다면 일자리를 갖는 것이 그 어떤 복지의 수혜보다 낫다고들 말합니다.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둔 지금, '실버 파워'의 활용이 그 적극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200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국가 백년대계, 정치적 논리적용 곤란" 1:26
- 안병만 장관 "EBS 강의서 수능 70% 이상 낸다" 1:46
- 한·EU FTA 4월말 정식서명 추진 1:27
- 'G20 비즈니스 서밋' 조직위 공식 출범 1:51
- 세계김치연구소 출범, 명품화 시동 2:30
- 이 대통령, 일류 항공우주력 육성 1:44
- '농산어촌 전원학교' 2012년까지 300곳 지정 3:04
- 생산적 사업 연계, 개인·기업 모두 만족 2:13
- 간판보다는 실력, 명장을 꿈꾼다! 5:14
- 창업으로 제2의 인생 2:24
- 인터넷 중독 방지 종합계획 추진 2:01
- 대한적십자사, 北에 분유 20톤 전달 1:50
- 납세자 세정 신뢰도 전반적 향상 1:29
- 정 총리 "성폭행 관련 입법 조속히 처리해야" 0:26
- 금감원 "은행 외화자금 수급 원활" 0:32
- 비인기 종목팀 운영기업에 세제혜택 0:32
- 국내 축산물 항생제 사용 36% 감소 0:27
- '녹색성장, 미래성장 위한 기반' 8:44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7
- 청자 모란무늬 항아리 [한국의 유물] 1:54
- 일자리 창출, 정부-지자체 함께 뛴다 [정책진단] 29:59
- 다문화가정 학부모를 이중언어강사로 이중언어강사 양성제도 [생활공감] 8:55
- 난타와 사랑에 빠진 일본인 이와모토 유카 [릴레이 희망인터뷰] 4:01
- 오늘의 정책(전체) 23:38
- '실버 파워'가 고령사회 대비책 [클릭 경제브리핑] 2:40
- '형형색색' 국산 장미품종 한자리에 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