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산업 전체의 발전을 위해 프로그램 소스를 누구에게나 공개하는 것을 '공개 소프트웨어'라고 합니다.
정부가 디지털 교과서와 전자정부 등 6개 분야의 공개 소프트웨어를 집중적으로 육성합니다.
손안의 작은 휴대전화로, 인터넷 서핑은 물론 쇼핑까지 가능합니다.
운전자의 바이오리듬에 맞춰 차내 온도가 조절되고, 집안 목욕물까지 데울 수 있습니다.
모두 앞선 소프트웨어 기술이 있기에 가능한 일.
정부가 올해 기업과 대학, 연구소가 함께 참여하는 공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장기천 / 지식경제부 소프트웨어진흥과 사무관
"리눅스와 같은 대표적인 공개 SW를 만들어서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산업연계를 통한 상용화도.."
특히 디지털 교과서와 전자정부 시스템, 모바일,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그리드 등, 우리가 강점이 있거나, 개발됐을 때 활용도가 큰 분야에 올해 20억원이 투입됩니다.
디지털 교과서를 위한 온라인 문자 인식 모듈이나, 이동통신기기용 필기체 문자 인식 엔진, 다국어 전자우편주소 지원 서버 개발 등이 본격화되는 겁니다.
지식경제부는 과제별 멘토를 통해 사업의 연계성을 높이고, 개발 성과물의 산업현장에 대한 적용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KTV 김민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341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원주~강릉 복선전철 검토" 2:13
- 인터넷 중독 예방교육 강화 2:16
- 무역수지 한 달 만에 흑자 전환 0:35
-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900만명 돌파 0:36
- 개인 금융자산 급증…2천조원 돌파 0:37
- 정부·대학·지자체 청년 해외취업 돕는다 0:36
- 스마트폰으로 스마트한 생활 2:07
- 디지털 교과서 등 '공개SW' 집중 육성 1:41
- 4대강 우기 대비 수해 방지대책 추진 1:27
- WSJ, "한미FTA 비준 적극 나서야" 0:32
- 해안선 6천km 따라 순례길 생긴다 0:34
- 스포츠 경기장 문화시설 설치기준 완화 0:27
- 권익위, '학교장 재산등록 의무화' 추진 1:22
- 건전한 학교 문화로 '입학·졸업 문화 개선' 1:45
- 교과부, '친구사랑 주간' 운영 0:32
- 장애인 공공기관 웹 접근성 향상 0:33
- 국민연금 가입기준 완화 10만여명 혜택 1:34
- 북, 외자유치 위해 나선무역지대법 개정 1:34
- 탄두 신관 결함이 원인 0:34
- 비어가는 운동장, 약화되는 경쟁력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