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클릭 경제브리핑입니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땀 흘려 일하는 근로의 소중함에 있어선 경중을 가릴 수가 없다는 의미일 텐데요.
하지만 귀천은 없는 대신에,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인기 직종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오는 2018년까지 고용변동 요인을 분석한 보고서를 내놨는데, 그 내용을 보면 이른바 뜨는 직종과 그렇지 않은 직종을 전망해볼 수가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백서른일곱개로 분류된 국내 직업 가운데, 2018년까지 고위공무원과 임원, 사회서비스 관리자 등 모두 쉰여덟개 직업의 취업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특히 보건·의료 직종에선 의·약사와 간호사는 물론 서비스 종사자까지 전 직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고, 사회복지 업종과 상담 전문가, 금융, 법률, 환경 관련직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반면에 백서른일곱개 직업 가운데 예순개는 취업자 수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는데, 제조업의 기능직과 기계 조작직, 농림어업 분야 기능직과 단순직 등이 포함됐습니다.
한편 대학교수와 유치원 및 학교 교사, 기자, 자동차 정비원 등 아홉개 직업의 취업자 수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결론적으로, 급증하는 서비스 수요에 부응해 의료와 복지, 금융, 사회서비스 일자리가 늘어나고, 단순 기능직 일자리는 대부분 줄어드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요.
고용정보원은 단순 기능직 일자리가 갈수록 줄어드는 건, 기술의 발달에 따른 자동화·기계화와 더불어서, 힘든 일을 싫어하는 젊은층의 기피 현상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그렇다면 취업자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먼저 정부 정책과 법·제도의 도입이 꼽혔고, 가치관과 생활방식의 변화, 기업 경영방식의 변화는 물론, 세계화와 인구구조의 변화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청년 취업난이 심각한 요즘,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어떤 직종이 유망한지, 그리고 자신의 적성이 어디에 있는지, 더욱 신중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변화의 흐름을 읽고 미리 준비하는 사람에겐, 일자리 기상도는 '맑음'일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 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206회) 클립영상
- 안병만 장관 "무상급식 점진적으로 늘려가겠다" 1:51
- 안병만 장관 "교육비리 근절 위해 인사제도 개선" 2:06
- 2020년 세계적 중견기업 300개 육성 1:59
- 이 대통령 "중견기업, 지원 아끼지 않을 것" 1:29
- 부실·방만 지방공기업 구조조정 착수 1:58
- 가짜 수입 기능성 화장품 무더기 적발 1:30
- 농가 보유 토종종자 국가서 영구보존 1:57
- '한스타일 진흥원' 전주서 기공식 1:48
- 한중 외교장관, 6자회담 재개 노력 1:27
- "6자회담 복귀해야 경제난 극복" 1:38
- 내달부터 고소득자 현금영수증 의무발급 0:33
- 개발제한구역 매수토지에 휴식공간 조성 0:26
- 경찰, 성폭력 전과자 우범자 편입기준 강화 0:36
- 이 대통령 "꽃게잡이 조업 최대한 보장" 0:38
- 故 박춘석 악보 전시회 개최 0:31
- 출근시간 10대 중 8대 '나홀로 차량' 0:31
- 지난해 고지혈증 진료환자 92만명 0:23
- 선거연수원, 국제심포지엄 개최 0:31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32
- 교육비리 근절, 교육 바로 세운다 [긴급대담] 13:16
- 문화캘린더 2:31
- 토종 3D 입체영화가 온다 [이슈&트렌드] 12:11
- 부처 [한국의 유물] 1:57
- 4대강 논란, 사실은 이렇습니다 [정책진단] 24:50
- 톡!톡! 정책정보 1:58
- 천년의 신비를 그리다 - 채화칠장 김환경 [장인을 찾아서] 7:07
- 오늘의 정책(전체) 24:20
- 2018년 '일자리 기상도' [클릭 경제브리핑] 2:38
- "4대강 농경지, 국유지내 점용 적법 보상" 1:44
- 정 총리 "지역균형선발제 확대 교육질 개선" 2:13
- 지방연수원 부지매입, 혁신도시 본격화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