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재산권 침해 물품 국경서 원천봉쇄
등록일 : 2010.03.23
미니플레이
오는 7월부터,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물품은 세관을 통관할 수 없게 됩니다.
중국산 가짜제품으로부터 우리 상품을 보호하는 데 큰 힘이 될 전망입니다.
중국산 모조품 때문에, 지난 4년간 소송비용으로 20억원을 날린 업체입니다.
무역위원회가 짝퉁 수입자에 대해 시정조치를 내렸지만, 해외공급자가 수입자를 바꿔가며 감시망을 피해온 겁니다.
지금까지는 수입자와 판매자만 제재할 수 있었지만, 관련 법이 개정되면서, 앞으론 해외공급자에게도 통관보류 조치가 가능해졌습니다.
또 지식경제부 무역위원회가 지식재산권을 침해했다고 판정한 물품에 대해선, 세관이 통관보류 등의 국경조치를 통해 국내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도록 했습니다.
정부는 지식재산권 침해, 원산지 표시 위반, 허위, 과장표시 물품 수출입, 수출입 계약 미이행 등, 불공정 무역으로 적발되고도 시정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엔, 하루에 해당 물품가액의 0.005% 이내 금액을 이행 강제금으로 부과하도록 했습니다.
2008년 기준으로, 국내 기업들의 지식재산권 피해규모는 3천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정부가 이른바 '짝퉁 거래'에 대한 단속과 처벌을 강화하는 이유입니다.
KTV 김민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346회) 클립영상
- 정 총리 "국책사업 잘못될까 걱정하는 것은 기우" 0:34
- 4대강 살려 '물 문제' 근원적 해결 2:09
- 이 대통령 "지방선거, 깨끗한 선거 돼야” 0:37
- 지식재산권 침해 물품 국경서 원천봉쇄 1:26
- 이 대통령 "말한 것, 스스로 실천하는 사회 돼야" 2:00
- 임태희 장관 "전공노는 정치공무원…엄정 대응" 0:37
- 공무원 시간제 근무 20곳서 시범 운영 0:31
- 퇴직전문가 해외파견 국격 제고 1:32
- 다음달부터 스마트폰 인터넷 뱅킹 서비스 개시 1:48
- 민간고용 15개월 만에 상승 1:18
- 여수박람회 등 국제대회 관세 감면 1:22
- 올해 지역연고산업 육성 537억원 투입 1:47
- 양도소득세 예정신고 안하면 가산세 1:18
- '사이버 영어공부방' 시범 운영 1:31
- 경찰 지방선거 수사상황실 가동 0:41
- "국어가 궁금할 때는 9979" 0:29
- 서울교육청, 교장공모제 100% 실시 0:23
- 나랏돈 관리, 공세적 전환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