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위원장의 방중이 임박했다는 구체적인 전망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요, 정부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방중 가능 시점으로 자주 거론됐던 3월 말에서 4월 초.
북한 최고인민회의가 4월 9일부터 예정돼 있는만큼 그 전에 방중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었습니다.
여기에 장성급을 단장으로 한 북한군 대표단이 최근 베이징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다시 김 위원장의 방중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르면 하루, 이틀 내에 방중이 이뤄질 것이라는 구체적인 전망까지 나왔습니다.
정부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청와대 김은혜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구체적인 정황이나 사실관계를 확인해줄 수는 없지만,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도 최근 방중을 알리는 몇 가지 징후들이 포착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지금으로선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또, 이례적으로 북한의 동선이 노출되고 있는만큼, 전혀 예상밖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정부는 천안함 침몰 사고와 김 위원장의 방중을 직접적으로 연결하기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KTV 이해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406회) 클립영상
- 구조 7일째, 선체진입 주력 2:03
- 정부, 故 한주호 준위에 보국훈장 광복장 추서 1:28
- 정운찬 총리 "고인은 살신성인의 표상" 1:53
- 정정길 대통령실장, 한 준위 빈소 조문 0:30
- 김정일 방중 가능성…정부, 예의주시 1:21
- 정부, 북한에' 금강산 관광' 대화 촉구 0:49
- 이 대통령 "한은, 대한민국 경제 전체 보고 일해야" 1:20
- 이대통령-오바마 전화통화 북핵 등 논의 1:20
- 지난달 제조업 가동률 80%대 회복 1:39
- 서울 항동 등 5개 보금자리지구 지정 2:00
- "선진국 보 제거, 노후시설 철거작업" 1:28
- 한·칠레 FTA 6년, 교역 3배로 확대 2:00
- 올해 산업 온실가스 132만TOE 감축 1:41
- 자원봉사 인정·보상 문화 정착유도 2:15
- 해외환자유치, 지역별 특화 2:04
- 해외취업 확대···2013년까지 젊은 인재 10만 양성 2:08
- '미디어위원회' 구성, 종편채널 선정 채비 1:44
- 정운찬 총리 "일본, 어린 학생에게 거짓 가르치려 해" 0:41
- 성범죄자 전자발찌 소급적용 0:33
- 자동차 할부금리 비교 정보 제공 0:28
- 조세포탈 목적 장부파기 가중 처벌 0:36
- 교원, 행정업무 줄여 수업 전문성 높인다 2:08
- 오늘의 경제동향 2:43
- 새내기 직장인의 통장관리 [장바구니 경제학] 13:37
- 문화캘린더 2:45
- KOTRA, 세계 최대 '통상 신경망' [정책&이슈] 25:01
- 조선 개국 2년 전에 만든 조선 태조 임금 이성계 호적 [한국의 유물] 3:54
- 오색실의 미학 - 매듭장 김은영 [장인을 찾아서] 20:48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02
- 오늘의 정책(전체) 12:29
- 구조 7일째, 선체진입 주력 0:32
- 한미 정상 전화통화, "천안함 위로…협조 감사" 2:11
- 이 대통령 "미소금융지점 공공기관 안에 둬야" 0:38
- 지난달 무역수지 21억9천만달러 흑자 1:13
- 해군 특수부대 [1993년 제작 대한뉴스 제 1984호]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