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위원장의 방중이 임박했다는 구체적인 전망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요, 정부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방중 가능 시점으로 자주 거론됐던 3월 말에서 4월 초.
북한 최고인민회의가 4월 9일부터 예정돼 있는만큼 그 전에 방중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었습니다.
여기에 장성급을 단장으로 한 북한군 대표단이 최근 베이징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다시 김 위원장의 방중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르면 하루, 이틀 내에 방중이 이뤄질 것이라는 구체적인 전망까지 나왔습니다.
정부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청와대 김은혜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구체적인 정황이나 사실관계를 확인해줄 수는 없지만,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도 최근 방중을 알리는 몇 가지 징후들이 포착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지금으로선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또, 이례적으로 북한의 동선이 노출되고 있는만큼, 전혀 예상밖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정부는 천안함 침몰 사고와 김 위원장의 방중을 직접적으로 연결하기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KTV 이해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354회) 클립영상
- 승조원 식당에 인도줄 설치 실종자 탐색 0:47
- 한미 정상 전화통화, "천안함 위로…협조 감사" 2:10
- 이 대통령 "과학 조사 통해 원인 밝혀내겠다" 0:32
- 정운찬 총리 "고인은 살신성인의 표상" 1:52
- 김정일 방중 가능성…정부, 예의주시 1:19
- 2개월째 무역흑자…수출 위기이전 회복 1:27
- 소비자물가 2.3% 상승…안정궤도 진입 0:24
- 위례 당첨자 최고 납입액 3천290만원 2:09
- 김중수 총재 "세계경제 재편 속 한은 역할 확대" 1:35
- 인터넷 발전 저해 '규제개선 TF' 구성 2:26
- 이 대통령 "미소금융지점 공공기관 안에 둬야" 0:31
- 카드 결제 연체시 포인트 불이익 개선 0:24
- 외국인 금융 투자가도 출입국 전용심사대 이용 0:29
- "선진국 보 제거, 노후시설 철거작업" 1:28
- 자원봉사 인정·보상 문화 정착유도 2:13
- 교원, 행정업무 줄여 수업 전문성 높인다 2:06
- 한국, 무역에서도 '주는 나라' 된다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