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살리기가 보와 제방을 허무는 선진국의 최근 추세에 역행한다는 주장에 대해, 그것은 노후 시설물에 대한 철거 작업일 뿐, 4대강 살리기와는 기본 목적이 다르다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4대강에 만들어지는 보는 모두 16개.
이를 통해 홍수와 가뭄에 대비한 안정적인 수량관리를 하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입니다.
현재 미국과 일본의 경우 규모가 작은 댐과 보에 대한 철거작업이 이뤄지고 있지만, 우리와는 상황과 목적이 다르다는 게 정부의 설명입니다.
두 나라의 경우 지은 지 오래돼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는 시설물을 철거하는 것이지, 근본적인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선택이 아니었다는 얘기입니다.
제해치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홍보팀장
“미국은 약 8만 5천개의 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게 2020년에는 이가운데 85%가 시설노후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여 철거하는 거다.”
특히 우리와 이웃한 일본의 경우 각각 1919년과 24년에 준공된 보와 댐이 철거될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 대신에 가동보나 신규댐을 건설하는 조건이 붙어 있다고 정부는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경우도 한 해 동안 50~150개에 달하는 오래되거나 기능을 상실한 소규모 보를 제거하고 있는 만큼,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세계적인 추세를 거스르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KTV 김세로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354회) 클립영상
- 승조원 식당에 인도줄 설치 실종자 탐색 0:47
- 한미 정상 전화통화, "천안함 위로…협조 감사" 2:10
- 이 대통령 "과학 조사 통해 원인 밝혀내겠다" 0:32
- 정운찬 총리 "고인은 살신성인의 표상" 1:52
- 김정일 방중 가능성…정부, 예의주시 1:19
- 2개월째 무역흑자…수출 위기이전 회복 1:27
- 소비자물가 2.3% 상승…안정궤도 진입 0:24
- 위례 당첨자 최고 납입액 3천290만원 2:09
- 김중수 총재 "세계경제 재편 속 한은 역할 확대" 1:35
- 인터넷 발전 저해 '규제개선 TF' 구성 2:26
- 이 대통령 "미소금융지점 공공기관 안에 둬야" 0:31
- 카드 결제 연체시 포인트 불이익 개선 0:24
- 외국인 금융 투자가도 출입국 전용심사대 이용 0:29
- "선진국 보 제거, 노후시설 철거작업" 1:28
- 자원봉사 인정·보상 문화 정착유도 2:13
- 교원, 행정업무 줄여 수업 전문성 높인다 2:06
- 한국, 무역에서도 '주는 나라' 된다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