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약품비가 지난 2008년 사상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한 바 있는데요, 지난해에도 건강보험 총 진료비 가운데 약품비 비중이 30%에 육박했습니다.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는 약품비 무엇이 문제인지, 대책은 없는지 살펴봤습니다.
지난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건강보험 입원약품비 증가율은 평균 11.5%.
입원 약품비의 4배가 넘는 외래 약품비는 12.9%씩 증가했습니다.
고령화사회에 접어들면서 소비자들과 의사들이 높은 가격수준에 투약횟수가 많은 약을 선호한 결과입니다.
정부는,지난 2006년부터 건강보험 약품비 적정화 대책을 시행해 왔지만, 약품비 지출은 지난해에만 30%가량 급증했습니다.
정부는 이같은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오는 10월부터 시장형 실거래가 제도를 실시할 방침입니다.
요양기관 등에서 동일 효능이 있는 약을 평균가격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경우 평균가격의 차액가운데 70%를 인센티브로 제공받을 수 있는 제도로, 기존 약값의 고공행진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밖에도 외래기관별로 통상적인 처방결과 전년대비 총액이 늘지 않거나 줄 경우 절감부분의 30%를 보험제정에서 인센티브로 제공하는 총액절감 인센티브제도 확대 추진할 방침입니다.
하지만 현시점에서 약품비의 적정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선택기준과 처방약의 가격선을 합리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소비자의 현명한 판단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입니다.
KTV 이충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223회) 클립영상
- 한은, 올해 성장률 5.2%로 상향조정 1:53
- "수정안 지지도 원안 추월 '충청민심 변화'" 1:41
- "세종시법, 4월 국회서 처리돼야" 2:23
- 핵테러 위협, 공동대응 방안 논의 1:27
- "핵보유 억제 기여···한미 FTA 비준 촉구" 1:41
- 정부 '北 부동산 동결' 신중 대응 1:53
- 과학기술위성 이송···상단과 본격 조립 1:57
- 지난해 건강보험 약품비 30% 증가 1:33
- 1분기 예산 초과집행…상반기 60% '순항' 1:43
- 장애인 공공 도서관 2013년까지 100곳 확대 2:24
- 정운찬 총리 "대학자율화 등 '3화정책' 써야" 0:37
- "초등 4학년부터 독도 교육 검토" 0:34
- 연말까지 토지·임야대장 대대적 손질 0:32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1
- 이 대통령, 핵정상회의 참석 의미는 [긴급대담] 22:28
- KTV로 보는 <위클리 공감> [정책공감] 8:10
- 가좌 2동 주민들의 문화마을 만들기 [문화공감 대한민국] 10:09
- 글로벌 콘텐츠산업 육성한다 [정책진단] 23:22
- 톡!톡! 정책정보 2:14
- 오늘의 정책(전체) 16:27
- 이제 '짝퉁 소비국' 이미지 벗을 때 2:40
- 그린벨트내 보금자리 5년간 의무 거주 1:54
- "해당 축산농가, 당분간 모임·여행 자제"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