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목적과 이익창출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는 기업이 이른바 사회적 기업인데요.
이런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와 사회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사회적 기업 활성화' 포럼이 출범했습니다.
그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보기에도 신기한 악기들의 경쾌한 하모니가 연습실을 가득 채웁니다.
문화예술 분야의 대표적인 사회적 기업, 노리단.
'두드리면 음악이 되고 상상하면 악기가 된다'는 생각으로 모인 이 공연예술가들은 생활용품과 폐자원을 모아 연주에 쓸 악기를 직접 만들고, 소외계층을 찾아가 공연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처럼 사회적기업은 일반기업처럼 이익을 창출하면서 그 대부분은 일자리 창출이나 사회 복지증진에 재투자한다는 점에서 자선단체나 자원봉사단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현재 정부가 인증한 사회적 기업은 290여곳.
이를 통해 모두 1 만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졌습니다.
사회기여가 큰 만큼 정부는, 2년간 인건비를 지원하고 4년간 법인세와 소득세 절반을 감면해주는 등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사회적 기업을 민간차원에서 활성화하기 위해 경제계 대표와 학계 전문가 등 각계각층 50여명으로 구성된 '사회적기업활성화 포럼'도 출범했습니다.
정부 지원 뿐 아니라 민간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관련 제도를 개선해 나가기 위해섭니다.
이 포럼은 앞으로 해외 성공사례를 발굴하고, 사회적기업 현안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이는 등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다각적인 활동을 펼치게 됩니다.
KTV 신혜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363회) 클립영상
- 한국, 2012년 2차 핵안보정상회의 유치 2:05
- 최대 최정상급 회의 유치 '국격 제고' 1:51
- 핵 비확산, 외교적 노력 높게 평가 1:39
- 무디스, 한국 외환위기 이전 등급 회복 0:26
- '녹색인증' 받은 기업 세제혜택 부여 1:35
- 윤증현 장관 "구제역 확산방지 총력 대응" 0:31
- 2014년까지 국내생산 백신 9종으로 확대 0:38
- 정부 "北 금강산 자산동결 강력 대처" 1:37
- 재개발 이주시기 조정, 전세난 차단 0:30
- 광역시 인접 낙후지역 종합개발 가능 0:30
- 재정차관 "정부, 올해 5% 성장 전망 유지" 0:37
- 영산강 구조개선 '바닷물 오염 없다' 1:55
- Medical Korea, 세계로 하이킥! 2:07
- G20 홈페이지 국민 아이디어 '만발' 2:01
- '한류 세계화'로 국격 높인다 2:17
- 사회적 기업 키운다 2:35
- 세금통계로 본 '대한민국 CEO'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