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수출의 포문을 연 것을 계기로, 올해 원자력 전문인력 2천2백명이 확충됩니다.
세계 3대 원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포석입니다.
지난해 말 중동에서 날아든 낭보.
아랍에미리트에, 200억 달러 규모의 원전을 수출하게 된 겁니다.
2만 달러짜리 중형차 100만대를 수출하는 것과 맞먹는 효과입니다.
이은철/ 서울대 교수
"2030년까지 최소한 400기, 500기까지도 지어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한 10%로만 우리가 확보해도 2천억불, 한 250조 규모가 되니까 엄청난 규모라고 볼 수 있겠죠."
정부는 아랍에미리트 원전 수출을 발판 삼아, 세계 3대 원전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당장 올해 원자력 관련 공공기관에 전문인력 2천2백명이 충원되며, 한국수력원자력과 한전KPS 등 8개 기관에 분야별로 배치됩니다.
비단 해외 수출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신고리 발전소 등 총 8기의 원전이 건설 중이어서, 인력 충원의 필요성은 거듭 제기돼 왔습니다.
이재홍/ 지식경제부 원자력산업과장
"UAE 원전수출 성공과 국내 원자력 발전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서 원자력 관련 공기업이 인력을 2020년까지 약1만명 수준으로 추가 채용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이번 인력 확충으로 원전 수주 확대 등 원자력 산업 발전과 이공계 출신 채용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원자력 청년인턴제와 원자력 대학원 신설 등 전문 인력을 키우는 대책도, 상반기 안에 확정해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KTV 김민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364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원자재가 상승 스스로 극복해야" 0:34
- 이 대통령, 중국 정부에 칭하이 강진 피해 위로전 0:47
- "이 대통령, 원칙과 따스함에 미국서 인기" 0:34
- OECD 대사, 허경욱 재정부 1차관 내정 0:23
- 올해 원자력 전문인력 2천200명 충원 1:43
- 휴대전화요금 거품 빼 가계부담 줄인다 1:28
- 기업 매출액 감소 속 수익성 개선 1:33
- 한국 선박 수주, 중국 제치고 1위 탈환 0:26
- 녹색경쟁력 평가해 인센티브 준다 0:27
- 기재부 제1차관 임종룡, 조달청장 노대래 0:39
- 한-카자흐스탄 22일 정상회담 0:34
- 국가신용등급 외환위기 이전 회복 1:45
- '녹색성장 기본법' 녹색성장 법적 기반 완성 1:41
- 민·관 에너지 목표관리제 본격 시행 1:48
- '지식재산기본법' 제정, 입법예고 0:30
- 음식물 쓰레기, 버린 만큼 낸다 1:40
- 3월 취업자 27만명 증가…27개월 만에 최대 폭 1:50
- 정부 과장급 역량평가 14곳으로 확대 0:37
- 제주 지역 표준점수 최고…시도별 13점 차이 2:09
- 축산물 안심 서비스, 유치원까지 확대 1:49
- '농어촌'을 '농어업기업'으로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