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하면 여러분들은 어떤 이미지를 떠올리십니까.
외국인들은 자동차와 가전제품, 그리고 '역동성'과 '첨단기술'을 떠올리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우리 스스로 바라본 한국의 모습은 어떨까.
홍승구(40)/서울 면목동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룬 부지런한 나라?"
허유진(30)/ 서울 방배동
"어느 나라에 가더라도 이동 단말기라던지, 전자제품들.."
실제로 외국인들은 한국에 대해, '역동성'과 '첨단기술'을 가장 많이 떠올렸습니다.
대표적인 산업은 역시 자동차와 가전, 그리고 휴대전화.
코트라가 33개국 8천230명에게 물었더니, 조사대상의 62.5%가 한국의 가전제품을 써 봤다고 답했고, 휴대전화 사용 경험자는 49.3%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상품에 대한 이미지 수준은, 2008년 대비 3.3% 개선된 71.5%.
이는 동일한 상품을 미국과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 생산했을 때 100달러라고 본다면, 우리나라 상품은 71.5달러로 평가한다는 겁니다.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 삼성에 대해 응답자의 59.7%가 한국 브랜드라고 답했지만, 일본 브랜드라는 응답이 25.9%, 중국이라는 응답도 10.4%나 됐습니다.
코트라는 삼성이 한국 브랜드라고 답한 사람일수록, 한국의 이미지와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우량 기업의 브랜드 가치가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KTV 김민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424회) 클립영상
- "대한민국, 고귀한 희생 결코 잊지 않을 것" 1:43
- 합동분향소 추모 물결 2:14
- 생존 장병 분향소 찾아 합동 조문 0:24
- "한미, 조사결과 따라 상응하는 조치 취할 것" 0:31
- 1분기 7.8% 성장, 7년3개월만에 최고 1:32
- "새만금, 동북아 경제중심지로" 1:33
- 이 대통령 "교육비리, 관습·관례화가 문제" 1:41
- 지역 교육청 '학교 현장' 지원 강화 2:03
-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에 추경호 내정 0:22
- 히말라야 원정 등반대 조난…2명 실종 0:32
- 2차 보금자리 4만1천가구 공급 2:12
- 정 총리 "혁신도시 건설 활성화돼야" 2:06
- 국민연금 임의가입 문턱 낮춘다 1:49
- 한국 이미지 '역동성'과 '첨단기술' 1:40
- 선진-개도국간 글로벌 리더십 발휘 1:36
- 이 대통령 "스폰서 사건, 검찰문화 바꾸는 계기로" 0:38
- "이명박 정부 2년 선진국가 초석 다져" 0:43
- 지방청간 교차감사로 785억원 추징 1:38
- 지적재산권 보호 의무·홍보 강화 2:17
- 오늘의 경제동향 2:07
- 빚을 자산으로 만드는 부채관리 노하우 [장바구니 경제학] 16:47
- 클릭! 일자리 2:21
- 친환경 건강도우미 방문서비스 [정책&이슈] 16:54
- 오리모양토기 [한국의 유물] 3:28
- 국내 창작뮤지컬의 신화, 마리아 마리아 [문화광장] 22:17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16
- 오늘의 정책(전체) 20:33
- 정 총리"국가애도기간 공직기강 확립해야" 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