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분석 4대강 살리기 5번째 시간입니다.
4대강을 둘러싼 논란 가운데, 강을 직선화시키고 콘크리트와 같은 인공 구조물로 만들 것이란 주장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한강 개발 때완 달리, 콘크리트 사용은 전체 구간에서 6%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른 아침 한강 둔치 내 체육시설.
평일이지만 운동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시민들의 모습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강변을 따라 걷고 자전거도 타며, 강 주변의 휴식공간을 만끽합니다.
80년대에 이뤄진 한강종합개발은 이처럼 강 주변을 대대적으로 정리하면서, 시민들에게 휴식과 생활문화 공간으로서의 수변공간을 제공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인공 구조물로 강의 본 모습을 훼손했다는 엇갈린 평가를 낳은 것도 사실입니다.
길이 36km에 달하는 강의 양 기슭을 콘크리트로 구조물로 채웠기 때문입니다.
일각에선 이런 점을 들면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콘크리트로 강을 채우는 '제2의 한강개발 사업'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4대강 살리기 사업은 한강 종합개발과 그 성격이나 공사방법 자체가 다르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입니다.
특히 4대강 사업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사용량이 전체 구간에서 6%에 불과한 적은 양이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견햅니다.
박재광 / 美 위스콘신대 교수
“과거의 한강 재개발을 할 때는 그 하천 복원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없이 했기 때문에 양쪽 강가에 콘크리트로 다 덮어서 강 뚝이 쓸려나가지 않도록 했습니다. 그렇지만 지금은 기술이 발전을 해서 자연상태에서 수생식물이나 일반 식물을 이용해서 그 강변이 유지가 되는
자연적인 하천 복원 기술이 개발 되어 있기 때문에....“
안홍규 / 건설기술연구원 박사
“4대강 사업에도 보면 각 구간마다 여울과 수로를 어떻게 만들 것이며 또한 정체수역을 해소하기 위해서 옆에 샛강을 만들든지 하천내부에 하중도라는 섬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 다양한 생태적인 방안을 강구 하고 있다.”
강 정비 과정에서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한 방안도 마련되고 있습니다.
세입을 목적으로 지자체들이 강 주변 친수공간에 마구잡이로 대규모 위락시설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홍규 / 건설기술연구원 박사
“대부분의 지자체라던지 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분들은 이런 친수공간을 가능한 한 모든 면적을 다 개발하려고 생각하죠. 그것을 사전에 막기 위해서 국토해양부에서는 생태하천 조성
요령이라는 것을 공포를 했고요. 거기 보면 개발 가능한 면적을 다 구분하고 있습니다. 가능한 한 개발을 억제하는 정책이 우선이라고 할 수 있다.“
계획 단계서부터 콘크리트 사용을 극도로 자제해 친환경 수변 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한 4대강 사업.
콘크리트 일색의 강이 될 거라는 일각의 주장이 무색해지는 이유입니다.
KTV 김세로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오늘 (2008~2010년 제작) (375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안보총괄점검회의 첫 주재 0:38
- 정부 "北, 핵융합 개발보도 비중 안 둬" 1:41
- 한-미, 6자회담·천안함 대응 논의 1:38
- 유명환 장관, NATO에 '천안함' 협력 요청 0:33
- 대학 구조조정 통해 인력수급 조절 1:35
- 전문계고, '400개 정예 직업교육기관' 개편 2:06
- 이 대통령 "고용형태 다양화 필요" 1:33
- 4월 취업자수 40만명↑…4년 8개월만에 최대폭 1:37
- 4대강 살리기, 콘크리트 사용 6% 불과 3:12
- 폐기물 부담금 50% 감면, 재활용엔 혜택 1:55
- 당신이 희망입니다 - 음성 소 할머니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