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최근 지방경제 동향을 분석한 결과, 뚜렷한 회복세가 나타났습니다.
특히 생산과 소비의 동반상승으로, 경제 순환이 원활히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지방경기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5월까지 각종 지방경제 통계를 분석한 결과, 산업 전 분야에 걸쳐 긍정적인 분석이 나온 겁니다.
무엇보다 경기의 주요요소인 생산과 소비의 동반상승이 경기회복의 선순환 구조를 이끌고 있습니다.
제조업 생산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생산량이 한 해 전보다 17.6% 증가했고, 올해 1분기에는 27.4%나 확대됐습니다.
이같은 제조업 생산의 증가세는 반도체와 자동차 등이 호조를 지속한 데다, 석유화학과 철강, 기계 산업 등이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업황이 크게 개선됐기 때문입니다.
서비스업 현황도 파란불이 켜졌습니다.
도소매와 운수업 등이 서비스업 생산의 회복세를 이끌었다는 분석입니다.
이 같은 생산의 증가는 소비의 촉진으로 이어졌습니다.
자동차 판매량은 지난해 4분기에 한 해 전보다 88.6% 증가했고, 올해 1분기에도 22.9%가 늘어났습니다.
특히 4월 이후에도 신차발표가 예정돼 있어, 판매량 증가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밖에 건설과 설비투자, 수출 등 주요 경제지표들의 회복세도 이어져, 움추렸던 지방경제가 활력을 되찾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KTV 강석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442회) 클립영상
- 천안함 사태 대국민 담화 10:52
- 천안함 관련 대국민담화, 내용과 의미는? [정책&이슈] 27:55
- 천안함 사태 대국민 담화 10:33
- 오늘의 정책(전체) 15:37
- KTV로 보는 <위클리 공감> [정책공감] 5:32
- 사랑을 물어봐도 되나요? [행복한 책읽기] 17:07
- 통일·국방·외교부 장관 합동 기자회견 29:47
- 관계부처 장관 합동 기자회견 내용과 의미 [특별대담] 9:40
- 이 대통령 "무력침범시 즉각 자위권 발동" 2:15
- 이명박 대통령-원자바오 28일 회담 0:33
- 미국, 독자적 대북 제재 확대 검토 0:36
- "수출·원자재·물가 등 이상징후 없어" 1:51
- 한·중·일 투자협정 연내 타결 노력 1:46
- '정당가입 교사' 파면·해임 1:18
- 혁신도시 119개 이전기관 승인 완료 1:26
- 지방경제 회복세…생산·소비 동반상승 1:37
- 국립중앙박물관 무료 음악회 개최 0:29
- 사회복지 자원봉사자 100만 명 돌파 0:25
- 보육료전액지원 1년새 50% 증가 1:18
- 권익위, 방과후학교 법적근거 마련 '권고'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