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산업재해가 늘고 있습니다.
노동부는 검찰과 합동으로 산업재해 점검반을 꾸려 산재취약 사업장을 집중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은 각종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기계에 신체 일부가 끼거나, 작업 도중 떨어지는 경우도 비일비재합니다.
노동부에 따르면, 실제로 업무 도중에 사고를 당한 피해자수는 올해 초부터 꾸준히 증가해 지난달엔 2만7천명을 넘어섰습니다.
한해전 같은 달보다 2천 오백여명, 7.4%나 더 늘었습니다.
재해자수가 많은 곳은 역시 제조업이나 건설업 분야였고, 떨어지거나 넘어지는 안전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정부는 이처럼 일터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음달 7일부터 100일간을 '재해예방 집중기간'으로 정하고, 안전이 취약한 사업장을 중심으로 점검활동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검찰과 합동으로 꾸려진 점검반이 전국 만곳의 사업장을 방문해 안전 기준 여부를 점검하고 위반 사업장은 5년이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또 고령자나 여성근로자가 많은 사업장엔 별도의 감독관을 배치해 산업 현장의 안전조치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올해 당장 산업 재해자수를 8천 7백여명 줄이고, 재해율은 현재보다 0.1%p 낮춘 0.6%대로 진입한다는 목표입니다.
정부는 특히 올해 안전사고가 유난히 많았던 음식과 숙박업 등의 사회 서비스업종에 대해서 예방 활동을 집중적으로 펼칠 방침입니다.
KTV 신혜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443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무력 침범시 즉각 자위권 발동" 2:07
- 이 대통령 "천안함 사태계기 확고한 안보태세 확립" 1:47
- "남북교역 중단, 北 선박 우리해역 운항 불허" 2:12
- 北 도발 대비, 한미 대잠수함 훈련 실시 1:35
- 유명환 장관 "유엔 안보리 회부 관련국과 협의" 1:50
- "미·일, 천안함 후속조치 강력 지지" 1:53
- 하토야마 총리 "북한에 대한 독자적 제재 검토" 0:37
- 미 국방부 "가까운 장래 대잠수함 훈련" 0:24
- 반기문 총장 "안보리 적절한 조치 기대" 0:24
- "北, 심리전 방송 재개시 직접조준 사격" 1:54
- "경제제재, 북한당국 직접적 타격" 1:50
-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오늘 개막 1:27
- 한-아세안 전통 오케스트라 공연 0:41
- 정류장서 수도권 광역버스 정보 안내 1:57
- 지방세 체납 정리 고강도 대책 시행 1:48
- 종소세 신고, 가산세 불이익 유의 1:38
- 노동부, 산재취약 사업장 집중점검 2:13
- 오늘의 경제동향 3:07
- 현명한 소비 '공짜'의 기술 [장바구니 경제학] 13:34
- 클릭! 일자리 2:08
- 미소금융 6개월, 서민에게 가까이 [정책&이슈] 17:41
- 잎사귀무늬 접시 [한국의 유물] 3:03
- 우리나라 운전문화는 '빨간불' [문화광장] 23:18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01
- 오늘의 정책(전체) 23:43
- 우다웨이 대표 방한, 천안함 협의 주목 0:32
- 서울시, 학업 성취도로 교원 평가 1:37
- 행정내부규제 54개 바꾼다 0:27
- 정 총리 "친서민정책으로 국민통합 이뤄야" 1:27
- '사금융 애로, 지원센터와 상의하세요' 1:33
-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오늘 개막 0:49
- 김윤옥 여사 "문화예술 분야부터 손 잡아야" 0:33
- '굿스굿스' 브랜드로 자활상품 '날개' 1:59
- '항체효과 단백질' 원천기술 국내 개발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