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클릭 경제브리핑입니다.
필요에 따라 이곳 저곳에 돈을 지출한 뒤에 남는 여윳돈, 여러분은 어떻게 활용하십니까.
장롱이나 금고 안에 모아놓는 수동적인 방식도 있을테고, 적립이나 투자를 통해 수익을 내는 적극적인 활용법도 있을텐데요.
규모는 크게 다르지만 정부 예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상황이 발생합니다.
바로 정부가 각 부처에 지급하고 남은 돈을 어떻게 관리할 것이냐, 하는 문제입니다.
통상 각 부처 예산 배정 이후 연평균 5조원 가량의 여윳돈, 즉 국고금이 남게 되는데, 이 돈은 그 동안 한국은행에 무이자로 보관돼 왔습니다.
정부는 바로 이 자금을 좀 더 적극적인 방식으로 운용하기로 하고, 비상시를 대비해 1조원만 남겨두고 나머지를 금융시장에 풀어서, 연평균 천억원 정도의 이자수익을 내기로 한 겁니다.
기획재정부는 일주일 미만의 초단기 자금도 매일 금융시장에 풀어서 적극적인 자금 관리를 해나가기로 하고, 다음달에 정부 자금을 운용할 은행을 복수로 선정할 예정입니다.
이런 계획은, 정부 보유 현금의 관리방식을 보다 적극적인 관리체제로 전환하는 내용의 '국고자금 집행지침'에 따라, 오는 7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런가 하면, 나랏돈 관리에서 이런 종류의 대기성 자금이 발생하는 것 자체를 줄이기 위한 방안도 시행됩니다.
기존의 국고금 관리체제 하에서는, 부처들이 과도한 자금 배정을 요구해, 늘 대기성 자금 규모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어왔기 때문인데요.
앞으로는 대규모 자금을 집행하기 전에 반드시 재정부에 사전 통지 하도록 하고, 자금배정 이후 집행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할 경우엔 자금 회수는 물론 불이익을 준다는 계획입니다.
쉽게 말해, 국고금의 수입·지출 흐름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여서 여윳돈의 규모를 가급적 줄이되,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여윳돈은 적극적인 운용을 통해 수익을 내겠다는 겁니다.
꼭 쓸 돈만 쓰고, 남는 돈은 잘 굴려서 불리는 것, 정부가 새롭게 마련한 국고자금 집행지침의 핵심입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395회) 클립영상
- 한중 양자회담, '천안함 ' 공조방안 논의 2:14
- 정부 "北, 태도 따라 추가 군사조치" 1:44
- 천안함, 이르면 다음주 '안보리' 회부 1:48
- 정부, 중국에도 '전문가팀 파견' 제안 0:32
- 美 "북한·이란, 고립심화 다양한 수단 추구" 1:41
- "日, 300만엔 이상 대북 송금 보고 의무화" 0:30
- 북 폐쇄 위협불구 개성공단 정상통행 0:25
- '천안함의 숨은 영웅들' 2:32
- "천안함 사태, 실물경제 영향 제한적" 0:34
- 정 총리 "비상한 각오로 위기관리 해야" 0:43
- 다음달 기업 경기전망 '전반적 양호' 1:40
- 한은, '시장과 소통 강화' 본격 행보 1:32
- 지역주민, 종교계 4대강 선거악용 비판 1:11
- 사회서비스 일자리 28만개 만든다 1:58
- '금융채무불이행자' 고용기업에 1인당 최대 810만원 지원 1:31
- 대학생 문화자원활동단 본격 가동 1:36
- 정부 여윳돈 굴려서 수익낸다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