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에게도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직업교육이 실시됩니다.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생산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온돌마루를 제조하는 이 중소 업체는 생산직에서 일하는인력의 절반이상이 외국인 근로자입니다.
한국말이 서툰 외국인들이 대부분이어서, 주로 포장업무와 같은 단순 기능직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토마스/인도네시아
“한국 기술을 잘 배우려면 한국어를 잘 해야 되고 여기서 컴퓨터 기술을 배워서 인도네시아에서 컴퓨터 디자이너가 되고 싶습니다.”
정부는 이처럼 숙련도가 떨어지는 외국인 근로자 5천명을 대상으로 맞춤형 직업교육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교육은 기술용어를 가르치는 기초직무와 컴퓨터 수리 등 숙련 기술을 지도하는 전문 훈련 교육 두 과정으로 나뉘는데, 대학과 직업전문학교 등 전국 66개 훈련기관에서 진행됩니다.
사업주들은 별도의 비용을 부담하지 않아도, 최대 3개월간 무상으로 제공됩니다.
이를 통해, 외국인 근로자들의 업무량과 생산성도 크게 높아 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산업인력공단측은 빠르면 6월중순에 외국인 직업교육을 본격적으로 실시한다는 방침입니다.
KTV 신혜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398회) 클립영상
- 16시 현재 전국 투표율 46.0% 0:26
- 이 대통령 내외 "일 잘하는 사람에게 투표" 0:24
- 정운찬 총리 "선거는 민주 시민의 의무" 0:27
- 지방선거 불법행위 대폭 감소 1:52
- 8일부터 한미 연합 대잠수함 훈련 실시 1:32
- 위성락 "안보리 회부 시간문제" 1:45
- 유명환 외교 "美, 北 무역·무기거래 제재 검토" 0:43
- 이 대통령, 4~5일 싱가포르서 '천안함 외교' 1:30
- 하토야마 日 총리, 취임 8개월만에 사의 0:29
- 보금자리 의무거주, 군복무도 '예외' 1:26
- 매출 500만달러 수출기업 100곳 육성 1:31
- 불법조업 중국어선 '이중처벌' 합의 1:55
- 수질오염총량관리, 한강 전체로 확대 1:47
- 발굴유해, 유전자 확인 늘린다 1:40
- 내일, 나로호 마무리 단계 총점검 실시 1:18
- 3D 기술 연구개발에 22억원 투입 1:22
- 근로자 임금총액 금융위기 이전 회복 0:32
- 한국 1분기 성장률 OECD 회원국 1위 1:23
- '찾아가는 서민 금융교육' 전국 확대 1:39
- "외국인근로자, 직업능력 훈련 무료로 배워요"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