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의 의견을 모두 수렴한 유엔 안보리가 사실상 천안함 논의에 들어갔습니다.
안보리 대응의 형식은 '의장성명' 쪽으로 모아지고 있습니다.
우리 측 합동조사단의 브리핑에 이어, 북한의 입장설명까지 들은 유엔 안보리는 그 자리에서 곧바로 비공식 협의를 가졌습니다.
유엔에서의 천안함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겁니다.
이사국간 일차적인 의견교환이 이뤄진만큼, 이번 주 안에 안보리 대응의 수위와 그 내용에 대한 협의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북조치의 형식은 사실상 '의장성명'으로 가닥이 잡혀가는 분위기입니다.
새로운 제재를 추진하는 것이 아닌만큼,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북한을 규탄한다는 데 의장성명의 의미가 있습니다.
정부는 문안에 북한을 지목해 사과와 재발방지 촉구하고, 또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길 수 있도록 하는데 외교력을 모으고 있는데, 중국과 러시아아 얼마나 동의해줄지가 관건입니다.
한편, 미국 상·하원 의원들이 북한 규탄하는 성명을 내놓은 데 이어, 유럽의회도 곧 대 북한 결의안을 채택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안보리 제재 시 무력으로 대응할 것이라는 북한의 경고 속에, 이 같은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안보리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KTV 이해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408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정부, 주택거래 불편 해소에 집중" 1:42
- 캠벨 방한, 안보리 대응 집중 협의 0:34
- 유명환 장관, 러시아에 '안보리 협조' 요청 0:26
- 안보리 천안함 논의 '의장성명' 가닥 1:22
- 北, NLL 잦은 침범…도발 예의 주시 1:57
- "올해 수출 금융위기 이전 수준 넘을 것" 1:54
- 지난해 최대 경상흑자 상대국 '중국' 1:33
- IMF "2030년 亞 경제규모 G7 추월" 0:29
- 올해 근로장려금 67만5천가구 신청 0:30
- 성과 미흡한 재정사업, 예산 10% 삭감 0:34
- OECD "한국, 녹색성장 촉진 강력한 의지" 1:50
- "한국형 발사체 개발 계속한다" 2:00
- 결혼이민자 '언어소통 해결사'로 나서다 2:46
- 김윤옥 여사, 도서·벽지 어린이 청와대 초청 격려 0:18
- '입학사정관제' 60개 대학 지원 0:24
- 지자체 CCTV 통합관리센터 구축 0:20
- 잔류농약 '걱정 마세요'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