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전해드린대로 제2 연평해전은 8년 만에 국가보훈처 행사로 격상됐는데요.
제2 연평해전은 어떤 전투였는지 그리고 8년이 지난 지금 그 의미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짚어봅니다.
북방한계선을 바로 앞에 둔 서해 5도 근해.
북한과의 신경전이 끊이지 않는 곳이자 국지전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지역입니다.
제 2연평해전은 전국이 월드컵으로 들썩이던 2002년 6월 29일, 서해 연평도 인근해상에서 우리나라와 북한이 정면충돌한 전투입니다.
당시 서해의 북방한계선을 침범한 북한 해군의 경비정이 우리나라 해군의 참수리 357호정을 향해 85㎜ 함포를 선제사격하면서 교전이 시작됐습니다.
양측 고속정들은 수천 발의 기관포탄을 사격하며 치열한 교전은 진행됐고 25분 뒤 북한 해군은 퇴각했지만 참수리호 1정이 침몰하고 6명의 전사자와 18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전사자가 발생했지만 북한의 도발에 제대로 반격한 빛나는 승전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간 제 2연평해전은 북한을 자극해선 안된다는 이유로 이명박 정부 전까진 자랑스러운 승전의 의미를 담은 해전 대신 ‘서해 교전’으로 기록됐습니다.
따라서 8주년을 맞아 기념식까지 격상된 제 2 연평해전은 희생용사에 대한 예우를 높이고 해군승전을 역사에 제대로 기록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서해교전은 이제 제2 연평해전이란 이름으로 우리 해전사에 빛나는 승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게 됩니다.
KTV 최고다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416회) 클립영상
- 한-파나마 정상회담, 양국 FTA 체결 공감대 2:02
- 이 대통령 "중·러 책임있는 나라 공정한 참여 기대" 2:11
- 5월 경상수지 6개월만에 최대 흑자 1:52
- 제조업 경기, 3분기도 호조세 전망 1:31
- 정 총리 "나라 위한 희생 끝까지 책임" 2:08
- 제2연평해전 '승전역사'로 기록 2:21
- 美 국방부 "한미 연합훈련 7월 실시" 0:29
- 종합병원도 진찰료 본인 전액부담 1:51
- 정 총리 "정부-지자체 소통 강화해야" 0:35
- 지방 미분양 취득·등록세 감면 10개월 연장 0:35
- 한미FTA 새 국면…'자동차' 최대 쟁점 1:37
- 4대강 준설 1억㎥ 돌파, 홍수조절력 확대 1:37
- "50년 후 33억톤 물 부족국가 전락" 1:51
- '한국형 토익' 응시 횟수 4회 제한 0:32
- 물가관리 품목 확 늘어난 이유는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