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하반기엔 금리 상승이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지목됐습니다.
금융당국은 서민들의 부채 부담이 가중 될 것에 대비해, 지원을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금융감독원은 하반기 우리나라 경제의 최대 위험 요인으로 금리 상승을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유럽발 금융위기 가능성 등으로 금융시장이 또 다시 경색될 수 있다는 점도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먼저 국내적인 위험 요인으로, 금리상승 압력의 증가와 부동산 가격의 하락, 가계부채 증가 등 일곱가지 요인을 파급력의 순서에 따라 제시했습니다.
이근우 금융감독원 거시감독팀장
“금리인상이 부동산 가격 하락과 겹치면 가계의 부채 상환 부담이 늘어나는 동시에 건설사 부실이 커져 금융회사 건전성에도 악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어 해외 위험 요인으로는 유럽 재정위기의 장기화와 주요국의 재정건전성 악화, 중국 위안화 절상 등을 꼽았습니다.
재정 위기에 처한 유럽은행이 채무조정에 들어가면 국제 금융시장이 경색돼, 국내 은행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진단입니다.
앞으로 금감원은 시장금리의 상승속도 완화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특히 금리인상시 부채 부담이 커지는 서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KTV 강석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417회) 클립영상
- 한-SICA "한국기업 중미 진출 확대" 1:52
- 이 대통령 "파나마·코스타리카와 FTA 검토" 1:40
- 김윤옥 여사, 파나마 소아암 환자 격려 0:39
- 김종훈 본부장 "협정문 개정 없을 것" 1:50
- 정 총리 "국론분열 안돼, 행정도시 만드는데 최선" 0:26
- "유럽 긴축 따른 수출동향 예의주시" 1:44
- 하반기 금리상승 대비 서민 지원 강화 1:41
- 위성락 "G8 성명 안보리 협의에 활용" 0:30
- 국방부, 국방예산 6.9% 증액안 마련 0:36
-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원가 공개 0:29
- 오피스텔·고시원, '준주택'으로 규정 1:31
- "4대강 사업, 합리적으로 토론해야" 5:52
- 수능 모의 9월 2일 시행…EBS 60% 연계 0:26
- 우수교사 22명 캐나다-영국 파견 0:27
- '체험 위주' 2009 개정 교육과정 시행 준비 1:58
- 신용평가사의 신용을 평가한다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