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전해드린대로 경부고속도로가 개통한 지 40주년을 맞았습니다.
시행 당시 환경파괴 논란과 예산 문제 등 숱한 반대와 우여곡절을 극복한 대역사는, 현재의 4대강 살리기 사업과 닮은꼴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40년 역사가 주는 의미와 교훈을 되짚어봤습니다.
아침을 맞은 궁내동 서울 요금소.
이른 아침부터 고속도로를 이용하려는 차량들이 가득합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5시간 이내.
이 도로를 통해 전 국토가 반나절 생활권으로 묶이면서, 이제 단순한 도로를 넘어 국민들의 삶의 터전으로 자리잡은 지 오래입니다.
김성범(33)
“출근 할 때, 출장 갈 때 고속도로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김정기(61)
“돈을 내더라도 업무의 필요성 때문에 시간 단축을 위해 많이 이용한다.”
연간 총 수출입 화물의 40%를 담당하는 부산과 주요 대도시를 연결하면서, 수출 중심의 중화학공업으로 산업구조를 개편시켰고, 철강과 자동차 산업 등의 발전을 촉진시켜 우리 경제의 눈부신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배인철/ 도로교통연구원 박사
“정량화 할 수 있는 부분은 '직접적 효과'라 할 수 있음 시간, 유류, 환경오염의 절감비용 등인데 2006년 기준 360조원에 달한다.”
그러나 시행 당시에는 지금의 4대강 살리기와 마찬가지로, 예산과 환경파괴와 관련한 완강한 반대가 있었습니다.
국민소득이 142달러에 불과했던 1967년 당시, 국가 예산의 23%에 해당하는 사업비를 들어 국가 재정이 파탄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고, 그 돈으로 농산물 가격안정과 중소기업 육성에 투자해야 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산을 깎거나 농지를 훼손하는 등 환경파괴가 심각할 것이란 의견도 지금의 4대강 살리기와 닮은꼴이었습니다.
숱한 우여곡절을 뚫고 마침내 완성된 428km의 국토 대동맥.
그렇다면 이 대역사가 지금의 4대강 살리기에 던져주는 시사점은 무엇일까.
차윤정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 환경부본부장
“강의 물이 일정하게, 깨끗하게 유지된다면 그 생태계는 더할 나위없이 좋아 질 것이다. 결국 4대강 살리기 사업은 맑고 깨끗한 물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사업이라 할 수 있다.”
박철휘 서울시립대 교수
“결국은 4대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서 우리나라의 국토가 재창조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한강이나 이런쪽 에서는 그 강 중심의 문화가 조금씩 발전되어 있었는데 앞으로는 전국적으로 4대강 중심으로 지역문화가 활성화되지 않을까 생각이돼서...”
40년 전 경부고속도로가 반대에 막혀 건설되지 못했다면, 후세들에게 세계를 놀라게 한 한강의 기적을 선물하는 건 불가능했을 거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입니다.
만성적인 홍수. 가뭄 피해와 물 부족 문제를 근원적으로 극복하고 환경과 생태를 살리기 위한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반대를 위한 반대를 뚫고 국토의 대동맥으로 자리잡은 경부고속도로의 40년 대역사가, 크나큰 교훈으로 다가오는 이유입니다.
KTV 김세로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